‘제1회 고등교육정책 협의회’ 개최 ··· 24개 대학 총장 참여

사진= 충남도청
사진= 충남도청

김태흠 충남지사가 내년 라이즈(RISE) 사업 시행 앞두고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뼈를 깎는 수준의 고강도 구조조정을 요구했다. 이를 실행하는 대학에는 도가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김 지사는 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1회 고등교육정책협의회에서 “지역대학이 살아남으려면 완전히 판을 깨다시피하는 혁신이 필요하다”며 “뼈를 깎는 구조조정과 특성화 등 라이즈 체계와 함께할 의지가 있는 대학에는 전폭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충남은 라이즈 사업을 활용해 학생과 교수의 정원을 줄이고 전국 대학과 견주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키워나갈 것”이라며 “폐교까지 가는 대학은 법인재산의 30% 정도는 돌려받을 수 있도록 제도개선도 적극 건의해 일방적인 희생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협의회는 지역혁신중심 대학 지원체계(라이즈, RISE) 사업에 참여하는 도내 24개 대학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내년 시행을 앞둔 ‘충남 라이즈’ 기본계획(안)을 공유하고, 각 대학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도는 기본계획에 지역혁신 성장을 견인하는 경쟁력 있는 대학 육성을 목표로 잡았다. 구체적으로 산업 연계 인재 양성 기반 마련, 지산학연 협력생태계 구축, 일-학습-삶 연계 강화, 성장과 나눔의 가치 기반 힘쎈충남 도약 등 4개 프로젝트, 17개 단위 과제를 담았다.

7월에는 대학별 1대 1 간담회를 실시해 라이즈 기본계획의 세부 과제별 참여 의사를 확인하고 단위과제 조정 및 성과평가 지표 선정 등 의견수렴 과정을 지속해서 진행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내년 라이즈 사업이 본격 시행되기 전 각 대학의 개별적 상황과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대학과 협력을 통해 충남의 교육과 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내포=최신웅 기자 csu@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