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치 학교 복귀 후 부적응
유급 방지에만 목적 둔 교육
학교 서서히 적응하도록 관심 필요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몸이 아파 학교에 출석하기 어려운 건강장애 학생들은 교육기회가 일반학생보다 적을 수밖에 없다. 일단 이들을 위해 교육당국은 유급방지에 초점을 맞춰 교육을 시행 중인데 한켠에선 사회와 학교에 돌아갔을 때 적응을 돕는 교육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건강장애학생은 소아암, 백혈병 등 만성질환으로 3개월 이상 장기 입원이나 통원 치료를 하면서 학교생활 및 학업 수행에 어려움이 겪는다. 충청권에서는 올해 대전 45명, 세종 8명, 충남 61명, 충북 65명 등 179명이 여기에 해당한다. 건강장애학생은 건강이 회복되면 다시 학교로 복귀하거나 악화되면 다시 병원으로 돌아오는 과정을 반복한다. 물론 대부분의 건강장애학생들은 학교로 다시 돌아가는 데 학교에선 3개월 이상 결석 시 유급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학업에 지장이 생길 수밖에 없다. 치료에 드는 시간만해도 최소 3개월에서 1년 이상 걸리기 때문이다.

물론 각 시·도교육청은 이들의 유급을 예방하고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놓고 있다. 병원학교와 온라인 수업이 그것이다. 충청권 병원학교는 국립공주대·단국대·충남대·충북대 병원에서 운영 중이다. 이와 함께 원격수업기관인 스쿨포유, 꿈사랑학교의 화상수업과 온라인 교육 콘텐츠도 제공하고 있다.

이런 장치가 있지만 고된 병마와 매일 싸우는 학생들에게 학업 매진은 퍽 어렵다. 무엇보다 건강장애학생들의 학습 지원이 유급방지에 우선을 둔 건 한계로 꼽힌다. 지역의 한 교육계 인사는 “학생들이 아파서 모든 걸 다 소화하긴 어려워 온라인으로 수업을 하지만 전체내용을 다루기보다 요약해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며 “학교에 돌아가 학업에 정진하고 친구를 사귀며 사회성도 길러야 하는데 건강상 문제로 제약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현장에서는 유급 방지에 중점을 둔 교육보다 학교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에도 힘을 실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또 다른 교육계 인사는 “즐겁게 공부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개발하고 현장체험학습 등 외부활동과 단절된 학생들을 위해 가상체험 등을 제공해야 한다”며 “간헐적인 적응 프로그램을 만들어 서서히 적응할 수 있도록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면 건강장애학생들이 학교에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고운 기자 kgw@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