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5월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는 8년 6개월 만이다.
지난 24일 통계청은 "5월 출생아 수가 1만 9547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14명(2.7%) 증가했다"고 밝혔다.
1년 전보다 514명(2.7%) 늘어난 규모다. 특히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 대비로 두 달 연속 증가한 건 2015년 10, 11월 이후 처음이다.
이러한 현상은 코로나19 이후 결혼식이 증가하고, 신혼부부가 집중되면서 출산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결혼 건수 역시 2만923건으로 전년보다 21.6%(3712건) 늘었다. 5월 기준으로 결혼 건수가 2만 건을 넘어선 건 2019년 이후 5년 만이다. 결혼 건수는 올 4월에도 24.6%(3565건) 늘며 2018년 10월(26.0%)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바 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책이 결혼을 늘리고 있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결혼 지원금이 있는 지자체의 결혼 건수 증가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1월부터 만 19~39세 이하 초혼 부부에게 각각 250만원씩, 한 가구당 최대 500만 원의 결혼장려금을 지원하고 있는 대전의 1∼5월 누적 결혼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2% 증가했다.
이와 관련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시의 선제적 결혼장려금 정책발표 후 지난 4월 혼인 건수 증가율이 전년 동월 대비 44% 상승하며 전국 1위를 기록하는 등 실질적인 정책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며 "저출생 대응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전국 차원의 정책과 함께 지역 실정에 맞는 유인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최근에는 음성군이 청년 부부와 다자녀를 위한 주택 자금 지원 사업을 오는 8월 1일부터 시작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군은 자격 요건을 갖춘 신혼부부가 아파트, 오피스텔, 주택 등을 구입하거나 전세를 얻은 경우 연간 100만원을 지원한다.
조병옥 군수는 "저출산 위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본사업이 청년 신혼부부와 다자녀가정에 경제적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출산과 결혼 모두 두 달째 늘었지만 저출산 흐름이 완전히 반전됐다고 보기에는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정부의 경제적 지원 등 여러 정책이 나오면서 긍정적인 신호가 보이고 있다"며 "민관이 같이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