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이번 달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기정사실화되면서 8월 고용보고서 발표 이후에도 인하 폭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7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이번 달 25bp(1bp=0.01%포인트) 인하 전망이 70%로, 50bp 인하 '빅 컷' 전망 30%를 앞선 상태다.

지난 5일까지만 해도 25bp와 50bp 인하 전망이 각각 59%, 41% 수준이었으며 6일 8월 고용보고서 발표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빅 컷 전망이 45%로 올라가기도 했다.

하지만 몇시간 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에서 영향력 있는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가 몇 달간 더 많은 지표가 나오기 전에는 빅 컷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시사하면서 시장 기대가 다시 조정됐다.

앞서 미 노동부는 지난 8월 비농업 고용이 전월 대비 14만2000명 늘어 16만명가량 증가를 예상했던 시장 기대에 못 미쳤다고 밝힌 바 있다.실업률은 4.2%로 시장 기대에 부합했지만, 6∼7월 고용 증가 폭은 대폭 하향 조정돼 우려를 키웠다.

지난 7월 고용 증가 폭은 처음 발표했던 11만4000명에서 8만9000명으로 줄었으며, 이번 달 보고서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용증가 폭 3개월 이동평균은 7월 14만1000명에서 8월 11만6000명으로 줄어드는 등 5개월 연속 내림세가 이어졌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고용보고서 발표 후 확실성을 기대하던 투자자들이 실망했다면서, 고용보고서에서 확인된 일부 수정치와 허리케인 영향에 따른 통계 왜곡으로 인해 금리 전망이 여전히 흐릿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통신도 고용보고서 발표 이후 시장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면서, 연준 인사들이 17∼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 폭을 두고 뜨거운 논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했다. 

TS롬바드의 스티븐 블리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첫 인하부터 빅 컷에 나서기는 꺼릴 것이라고 봤다. 이번 달 50bp 인하 시 경기 침체에 대해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만 이번 달 25bp 인하 시 다음달에는 FOMC 회의가 없는 만큼 11월 FOMC 회의 때까지 고용 둔화에 따른 우려가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