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22대 총선백서에서 거론
당 전략 부재도 원인으로 지목

국민의힘 총선백서특별위원회는 28일 22대 총선백서를 공개하고 4·10 총선의 참패 요인으로 불안정한 당정관계 등을 지목했다.
‘마지막 기회’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백서에선 총선 패배 원인으로 불안정한 당정관계, 미완성의 시스템 공천, 절차적 문제와 확장성 부재를 야기한 비례대표 공천, 승부수 전략 부재, 효과적 홍보 콘텐츠 부재, 당의 철학과 비전의 부재, 기능 못한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 등 7가지를 지적했다.
백서는 우선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과 호주대사 임명, 시민사회수석 발언 논란, 의대 정원 정책, 대파 논란 등 연이은 이슈가 정권심판론에 불을 붙였고 당도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또 총선 직전인 4월 1일 윤석열 대통령이 의대 정원 증원 2000명의 정당성을 역설한 대국민담화도 거론됐다. 백서는 “대국민담화 직후 후보자들 사이에서는 ‘이제 끝났다’라는 절망이 팽배했다”며 “당정 간 다른 목소리를 내고 대립 관계를 보이는 순간 당정 갈등이 집중 부각될 것을 우려해 적극적으로 싸우지도 못하고 끙끙 앓다가 선거가 끝났다는 비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한동훈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이 주도한 시스템공천이 반쪽자리에 그쳤다는 평가도 포함됐다. 백서는 “당이 일찍부터 인재 영입을 준비하지 못해 후보군에 한계가 있었다”며 “사실상 총선 직전에 만든 기준은 많은 사람들이 납득하기 어려웠다”고 평가했다. 이어 “일부 출마자들은 경선·결선 기준이 다소 비합리적이었다는 점, 현역의원 재배치나 국민 추천제와 같이 기존의 원칙과 기준에서 벗어난 공천 사례들이 발생하며 시스템이 100% 지켜지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고 부연했다.
비례대표 공천 잡음도 빠지지 않았다. 백서는 “공관위의 비례대표 후보 면접 최종 심사 결과 자료가 국민의미래 지도부 및 사무처 실무진과 공유되지 않았고 현재도 남아있지 않다”며 “이는 심각한 절차적 하자로 시스템 공천이 이뤄졌는지 의문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백서는 6대 개혁과제로 당의 정체성 확립 및 대중적 지지기반 공고화, 미래지향형·소통형 조직 구조로 개편, 빅데이터 기반 정책 개발 및 홍보 역량 강화, 공천 시스템 조기 구축 및 투명성 강화, 취약지역 및 청년·당직자 배려 기준 구체화, 비전을 가진 싱크탱크 구축 및 미래를 위한 준비 등을 꼽았다.
유상영 기자 you@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