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프레데리크 쇼팽(1810∼1849)이 20대 초에 쓴 것으로 추정되는 왈츠가 약 200년 만에 발견됐다.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쇼팽의 알려지지 않은 왈츠 악보를 찾게 된 과정을 소개하면서 인기 피아니스트 랑랑이 연주한 영상을 공개했다.
NYT에 따르면 지난 봄 뉴욕 맨해튼 소재 박물관 '모건 라이브러리 앤드 뮤지엄'에서 음악담당 학예사로 일하는 작곡가 로빈슨 매클렐런은 수장고를 살펴보다 '아이템 147호'를 발견했다.
가로 13㎝, 세로 10㎝ 정도 크기의 악보 맨 위에 필기체로 'Chopin'(쇼팽), 왼쪽 상단에는 'Valse'(프랑스어로 '왈츠')라고 필기체로 적혀 있었다.
글씨뿐만 아니라 조그맣고 깔끔하게 적힌 악보의 음표, 그리고 독특한 낮은음자리표 모양까지, 널리 알려진 쇼팽의 필적과 닮아 있었다.
그는 곧바로 악보 사진을 찍어 쇼팽 연구의 권위자인 제프리 칼버그 펜실베이니아대 교수에게 보냈다. 칼버그 교수는 "입이 떡 벌어졌다"면서 처음 보는 곡이라고 말했다.
이후 모건 박물관 측은 이 악보의 종이와 잉크 재질, 필적, 작곡 양식 등에 대한 감정을 각 분야 전문가들에게 의뢰했으며,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쇼팽 작품의 자필악보가 맞다는 결론을 내렸다.
현재 알려진 쇼팽 왈츠는 1∼20번까지 후대에 붙인 번호가 붙어 있지만, 이 중 소위 '20번'은 쇼팽 작품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으며 소위 '17번'도 진위에 대한 의심이 있다.
이외에 10여곡 더 있다고 알려졌지만 악보는 전해지지 않는다.
이번에 발견된 가 단조 왈츠의 작곡 시기는 쇼팽이 20대 초반이던 1830∼1835년으로 추정됐다.
피아니스트 랑랑은 NYT의 의뢰로 이 왈츠를 맨해튼의 스타인웨이 홀에서 녹음했다.
랑랑은 "이 곡의 거친 도입부가 폴란드 시골의 엄혹한 겨울을 떠올리게 한다"며 "쇼팽이 쓴 가장 복잡한 곡은 아니지만, 가장 쇼팽다운 스타일의 곡 중 하나"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