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전 뒤로 하고 시 국비 확보 방안 논의
트램 예산 1/3만 반영되는 등 대전시 비상
정례적인 정책협의체 구성 논의에도 관심
야야 협치 틀 마련하는 교두보 확보 기대

서로 으르렁대기만 했던 이장우 대전시장과 대전지역 국회의원들이 본격적인 ‘예산 국회’에 앞서 대면한다. 대전0시축제 등을 두고 신경전을 벌여온 이 시장은 내년도 국비 확보와 관련해 ‘각자 알아서 할 일을 하면 된다’며 예산 관련 시장과 국회의원 간 대면에 소극적이었는데 일단 한 발 물러섰다. 국비 확보는 대전시민 민생과 직결된 만큼 시와 정치권의 협치가 절실하다는 여론을 수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이 시장과 대전지역 국회의원들은 11일 오전 코레일 회의실에서 조찬 간담회를 갖는다. 이 자리에선 내년도 대전시 관련 국비 확보 방안 등에 대한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시는 지난달 대전 국회의원 보좌진을 대상으로 국비 사업 관련 설명회를 열 예정이었지만 민주당의 반대로 무산됐다. 우선 시장과 국회의원 간 큰 틀에서의 예산 확보 관련 협의를 진행한 뒤 실무작업이 뒤따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국비 확보에 자신이 없어서 그러는 것이냐’며 대립각을 세웠고 이 시장 역시 불쾌감을 드러내면서 평행선을 달려왔다.
그러나 상황이 급박해졌다. 대전시 최대 현안 사업인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국비 확보에 비상이 걸린 거다. 당초 시의 요구안은 1846억 원인데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트램 관련 내년도 예산은 586억 원으로 3분의 1 수준이다. 수년이 걸리는 사업인 만큼 연차별 예산 배분이 적절히 이뤄지면 당초 시가 계획하고 있는 2028년 개통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일반적이지만 예산 집행이 늦어질수록 공사비도 늘어나는 등 부작용이 예상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트램의 경우 공사구간이 도심 중심도로 지상에서 이뤄지는 만큼 공사가 길어질 경우 간접비 등이 늘어나면서 공사비 역시 증가할 수밖에 없고 공사 기간이 늘어나면 주민들의 피해도 커질 수밖에 없다는 거다. 트램뿐만 아니라 지역 성장발전을 뒷받침하기 위한 현안 사업들도 많아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반영된 사업비를 방어하는 것은 기본이고 필요하지만 정부 예산안에 반영하지 못했거나 축수 반영된 사업비를 예산 국회에서 살려내는 노력도 절실한 상황이다.
이 자리에선 예산 확보 방안 외에 민주당이 줄기차게 요구해 온 정례 정책협의체 구성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지 관심이 쏠린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 시장과 당선인 간담회 당시 시장과 국회의원 간 정례적인 소통 창구를 마련하자고 요구해 왔는데 이 시장은 ‘필요 사안이 생기면 그때 그때 만나면 되지 않겠느냐’는 입장을 전했다. 이후 민주당 의원들은 지역 현안 문제가 대두될 때마다 정례 정책협의체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엔 장종태 의원(서구갑)이 “이런 일들이 반복되면 대화가 단절되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하면서 “지금이라도 이 시장이 전향적인 생각을 가졌으면 좋겠다.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여야가 따로 없다”고 했다.
한편 국회 예결특위에는 충청권 의원만 6명이 포진해 있다. 대전지역 장철민(대전 동구), 황정아(대전 유성을) 의원을 비롯해 지난 21대 국회에서 대전 중구가 지역구였던 황운하 의원(조국혁신당 비례)이 예결위원이다.
유상영 기자 you@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