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이동노동자쉼터 단 2곳, 접근성 낮아
쉼터 확대·활성화 목소리, 대전시 “검토 중”

▲ 대전 유성구 봉명동에 대전시이동노동자쉼터가 마련돼 있다.

대전지역 이동노동자를 위한 쉼터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영하 10도 안팎의 맹추위가 지속됨에도 생업의 현장으로 내몰린 이동노동자가 휴식을 취할 곳이 마땅치 않아서다. 특히 대전에는 이동노동자쉼터가 단 2곳밖에 안 될 뿐만 아니라 접근성도 낮아 기존공간 활용 등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1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5일까지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전국 129명이다. 이 중 저체온증이 86%였으며 실외에서 발생한 신고가 72.9%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강추위가 지속되면서 질병청은 한파 시 야외활동 자제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그러나 생계 유지를 위해 추위와 맞설 수밖에 없는 이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게 이동노동자다. 이들은 소비 패턴의 변화에 따라 일상에 없어선 안 될 만큼 중요한 직업군에 속하지만 잦은 이동으로 휴식시간과 장소가 불규칙해 대개 길 위나 편의점에서 휴식을 취한다. 열악한 처우 개선을 위해 이동노동자쉼터가 마련됐지만 안타깝게 모두가 혜택을 누리진 못한다. 쉼터가 많지 않아서다.

대전시에 따르면 관내 이동노동자쉼터는 유성구와 대덕구에 각 1곳뿐이다. 2022년 기준 대전지역 이동노동자 등 플랫폼종사자가 1만 9000여 명으로 추산되는 것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이용자 통계를 봐도 그렇다. 지난해 유성구에 있는 대전시이동노동자쉼터 이용자수는 2만 8282명으로 전년(2만 4784명) 대비 3498명(14.1%) 늘었다. 쉼터 확대를 통해 역할 범위를 더 넓혀야 한다는 주장이 제속되는 이유다. 특히 이동노동자의 접근성을 고려한 쉼터 설치로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대전시이동노동자쉼터 관계자는 “혹한기에 들어서면서 지난해 12월 기준 하루 평균 140명의 이동노동자가 방문했다. 일부 쉼터에서 이용자가 적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위치 선정 때문에 그렇다. 폐지된 광주시 이동노동자쉼터는 8층에 있었다. 이동노동자 밀집지 중심으로 접근성이 좋고 주차도 가능한 위치로 선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시는 쉼터 확대를 검토 중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쉼터 이용 만족도 및 실적 분석을 통해 필요시 추가 설치 검토 예정이다. 다만 예산이 부족해 당장 설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다른 지역 운영 추이를 지켜보며 무인쉼터 등 간이쉼터 설치 확대도 고려하겠다”라고 말했다.

대전시이동노동자쉼터에 핫팩과 과자 등이 구비돼 있다.
대전시이동노동자쉼터에 핫팩과 과자 등이 구비돼 있다.
대전 유성구 봉명동에 대전시이동노동자쉼터가 마련돼 있다.
대전 유성구 봉명동에 대전시이동노동자쉼터가 마련돼 있다.
대전 유성구 봉명동에 대전시이동노동자쉼터가 마련돼 있다.
대전 유성구 봉명동에 대전시이동노동자쉼터가 마련돼 있다.

글·사진=김세영 기자 ksy@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