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서구·대덕구 등 관내 공공심야약국 4곳
감염병 대유행에 설 연휴 겹쳐 시민 우려 가중
대전시 "내년 국비 확대되면 늘릴 계획 있어”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공공심야약국 확대 지정의 필요성이 떠오른다. 최근 독감과 노로바이러스 등 각종 감염병이 유행하면서 병·의원과 약국을 찾는 시민이 늘고 있지만 야간에 급하게 약 처방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손에 꼽혀서다.

20일 대전시에 따르면 공공심야약국은 공휴일을 포함해 365일 매일, 심야 시간(밤 10시~새벽 1시)에 운영되는 곳이다. 대전의 공공심야약국은 중구 1곳, 서구 1곳, 대덕구 2곳 등 4곳 뿐이다. 2016년 12월 대전시 공공심야약국 지원 조례가 제정된 후 2018년부터 운영에 돌입, 7년이나 지났지만 겨우 2곳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접근성이 낮은 데다 장기화한 의정갈등으로 응급실 진료 문턱이 높아진 상황이라 공공심야약국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각종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황에서 설 명절 연휴도 길어 시민 우려가 적잖다.

대전시민 A(28) 씨는 “최근 독감에 걸려 죽다 살아났다. 하필이면 금요일 밤 증세가 나타나 약도 없이 긴 밤을 보냈다. 토요일 오전 동네의원 문 여는 시간이 되자마자 쫓아가 진료받았는데 설 명절처럼 긴 연휴에 또 아프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걱정이다”라고 말했다.

공공심야약국은 편의점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의 대안으로 법제화됐다. 24시간 운영되는 편의점에 다양한 안전상비약이 구비되면 접근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의견에서다. 그러나 1명당 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수량이 정해졌고 편의점이 24시간 운영 지침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경우가 적잖아 국민건강권이 더 침해받을 수 있다는 약사회 지적이 잇따랐다. 여기에 의정갈등으로 보완 방안 논의가 중단됐고 공공심야약국도 크게 활성화하지 못하면서 시민 불편이 가중된 것이다. 정부는 의정갈등 마무리 이후 안전상비약 품목 확대 가능성을 열어놓는 한편 공공심야약국 사업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품목 확대 논의 필요성에 공감하나 의정갈등 상황이 지속되는 만큼 사회적 논의가 충분히 이뤄지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의정갈등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관련 방안을 논의하겠다. 공공심야약국 사업도 병행하며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약사단체는 한정적인 예산에 무작정 확대할 수 없는 상황을 꼬집으며 관련 예산 증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대전시약사회 관계자는 “약사들의 참여 의지는 있다. 현재 약사 4명 정도가 공공심야약국 선정 기간 마감 시 연락을 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예산이 한정적이라 확대가 어려운 부분이 있을 뿐이다. 지난해 말 관련 예산이 확정돼 올해부터 국비 50%, 시비 50%로 지원된다. 심야 운영 비용은 시간당 4만 원으로 약국 1곳당 한 달 약 300만 원이다. 올해 예산이 확정돼 추가 모집은 어렵지만 시와 상반기 협의를 통해 인구밀집지와 이동 동선을 고려해 필요 지역에 추가 약국 개설을 논의하기로 했다”라고 설명했다.

시 또한 공공심야약국 확대 가능성을 열어놨다. 시 관계자는 “약국에서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고 내년 국비 예산 또한 확대되면 늘릴 계획이다. 시에서도 약국 참여를 더욱 독려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세영 기자 ksy@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