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으로 연결된 대전’을 위해
광주시 전국 최초 지원 조례 제정·센터 운영
서울시 작년 지원센터 개소, 법인 연계 검토
대전시, 청·중장년 구분 지원 사업 진행 후
내년 청년미래센터, 5년 내 기관 설치 계획
은둔형외톨이를 세상 밖으로 이끌기 위한 따뜻한 손길이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전국 최초로 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를 운영 중인 광주시를 비롯해 서울시도 지난해 서울청년기지개센터의 문을 열었다. 대전시도 은둔 청·중장년 지원방안을 담은 5개년 종합계획안을 마련, ‘사회적으로 연결된 대전’을 만들기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뿌리부터 튼튼한 지원체계 구축이 목표다.

은둔형외톨이 문제 해결에 가장 발빠르게 나선 건 광주시다. 광주시는 은둔형외톨이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인식한 뒤 2019년 전국 최초로 관련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이어 타 지자체에서도 관련 지원 조례가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이로 말미암아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 지자체가 59개의 조례를 운영하고 있다. ‘고립·은둔 청년’ 등 유사 용어까지 합치면 관련 조례는 100개에 달한다. 대전시는 2023년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전담기관은 많지 않다. 광주시가 2022년 최초로 은둔형외톨이지원센터를 설치했고 서울시가 바통을 이어받았다. 사회적 낙인효과 등의 우려로 서울시의 경우 명칭을 ‘서울청년기지개센터’로 정했다. ‘기지개를 켜고 세상에 나올수 있도록’ 원스톱으로 지원한다는 의미다. 센터와 사회적기업 ‘안무서운 회사’, 사단법인 ‘푸른고래리커버리센터’ 등과 연계해 자립을 추가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인천·울산·충북·전북에 청년미래센터를 구축해 가족돌봄, 고립·은둔청년을 지원하고 있다. 내년 전국 확대를 계획 중이다.
대전시는 지난해 실태조사를 마친 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5개년 종합계획안을 마련해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출발은 조금 늦었지만 그만큼 체계적인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그간 시가 관련 사업을 진행한 적이 없다. 밑바탕이 없는 상황에서 전담기관을 만들면 대상자 발굴 어려움과 예산 낭비 등이 초래될 수 있어 타 지자체 사례들을 참고하고 학습하고 있다. 지속적인 지원 시범사업을 운영하며 서울시처럼 우수한 사회복지법인 등을 발굴한 뒤 5년 내 전담기관을 설치하고 이들에 위탁운영을 맡기는 게 목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 사이 전담기관의 공백은 복지부가 확대 설치 목표를 밝힌 청년미래센터로 메울 계획이다. 내년 전국 시도를 대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인 만큼 예산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중장년 은둔형외톨이는 기존에 있던 중장년지원센터를 활용해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지원에 앞서 본격적인 은둔형외톨이 발굴은 오는 17일부터 내달 말까지 각 자치구 모든 동에서 진행한다. 발굴된 대상자에게는 마음, 관계, 일상 회복 프로그램을 연결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장년고독사고위험군 지원사업 예산 1억 5000만 원, 청년고독사고위험군지원사업 예산 2억 원을 투입한다. 고독사고위험군과 은둔형외톨이는 한 끗 차이로 이들을 가르는 기준은 ‘6개월 이상 한 공간에 머물렀는 가’다. 시는 은둔형외톨이 발굴을 위해 고독사고위험군 판단 도구에 해당 항목을 추가했다. 사회적 인식 개선도 병행한다. 시는 내달 5일 공무원 및 복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은둔형 외톨이 및 고독사 예방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세영 기자 ksy@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