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4기 선정사업 신청키로
선정 시 400억 국비·시비 지원
통합적 수소 인프라 구축 기회

대전시가 과학도시의 새 장을 열기 위한 도전적인 발걸음을 내딛는다. 과학기술 인프라와 연계한 수소경제 시대 선도를 위해 발 빠른 행보에 나선 것이다.
시가 도시 전반에 수소 인프라를 조성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혁신성장의 새로운 전기 마련에 나선다. 시가 추진 중인 혁신성장 전략의 핵심 축이자 수소경제 시대를 선도할 중요한 이정표가 될 국토교통부의 2026년 수소도시 조성사업 공모 참여를 결정하면서다. 사업비는 400억 원 규모로 국비와 시비가 각각 200억 원씩 투입된다. 시는 대전의 풍부한 과학기술 인프라와 수소 기술의 결합이 미래 도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국토부는 3기에 걸쳐 수소도시를 지정했다. 1기 사업지로는 경기 평택·남양주, 충남 당진·보령, 전남 광양·포항이, 2기로는 경기 양주, 전북 부안, 광주가, 3기로는 충남 서산, 경북 울진, 울산이 각각 지정됐다. 시는 4기 수소도시 지정을 목표로 대전세종연구원에 정책과제 용역을 진행하며 차별화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사업의 핵심은 도시 전반에 걸친 통합적 수소 인프라 구축이다. 사업에 선정되면 공동주택과 오피스 빌딩에는 친환경 연료전지가 설치되고 도시 곳곳에는 수소충전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수소버스와 수소트램, 수소드론으로 이어지는 미래형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이다. 단순한 인프라 확충을 넘어 시민들의 일상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시는 여기에 그린수소 생산시설과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스마트팜 등 수소 활용시설도 조성할 계획이다.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소의 생산부터 저장, 이송, 활용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첨단 관리 시스템도 도입된다. 수소도시 선정에 성공하면 대전은 과학도시를 넘어 미래형 수소경제의 선도도시로 도약하게 된다. 시는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는 목표다.
시 관계자는 “단순한 인프라 구축을 넘어 대전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핵심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내년 공모 선정을 위해 철저히 준비해서 국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