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용역 지연 등 행정절차 늦춰져
올해 공사 목표였으나 내년으로 이월

대전육교의 우수한 건축미를 최대한 살려 새로운 관광 자원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대전시의 야심찬 계획에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디자인 용역 지연으로 공사 일정이 당초 올해에서 내년으로 연기될 가능성이 커지면서다.
대전육교는 지난 1969년 경부고속도로의 일부로 건설돼 길이 201m, 폭 21.4m, 높이 35m의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 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대한민국 산업화의 대동맥 역할을 해온 대전육교는 우리나라 근대화의 상징적 존재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 속에서 교량의 노후화가 진행됐고 경부고속도로 확장 과정에서 불가피한 노선 변경으로 인해 1999년 완전히 폐쇄된 후 오랜 시간 방치됐다. 그러다 2020년 근대 산업화의 역사적 가치와 뛰어난 아치 교량 건축미를 인정받아 고속도로 1호 문화재(국가등록문화재 제783호)로 지정되면서 도약의 전기를 맞이했다.
대전육교의 역사적 가치를 되살리기 위해 시는 2023년 대전육교 일원 관광 자원화 공간디자인 용역 추진 계획을 수립했다. 시는 육교의 독특한 건축미를 극대화하고 시민의 문화향유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원대한 청사진을 제시했으나 행정 절차상의 난관에 봉착했다. 당초 시는 약 1억 9000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대전육교 일원에 대한 관광 자원화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오는 8월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완료한 뒤 9월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한다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행정상의 변화로 사업 추진에 차질이 빚어졌다. 첫 단추라 할 수 있는 용역 단계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기 때문이다. 특히 2023년 시 도시재생과에서 주관하던 사업이 관광진흥과로, 도로 관련 사업은 건설도로과로 업무가 분산되면서 용역 계획의 전면적인 수정이 불가피해진 탓이다. 이는 단순한 업무 이관을 넘어 사업 전반의 재검토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당초 계획했던 일정에 큰 차질을 빚게 됐다. 복잡한 상황 속에서 용역이 당초 계획보다 지연되면서 후속 행정 절차를 고려할 때 실제 공사 착공은 내년으로 미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관광자원화 추진 계획을 면밀히 수립하고 예산을 편성 중에 있으며 지방투자심사와 공유재산 심의 신청 절차도 진행하고 있다. 본격적인 공사 착수 시기는 올해에서 내년으로 이월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