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내부 CCTV 전무해 수사 혼선 발생했는데
아직도 설치 안 돼, 대전 초교 전수조사 계획만
2주 뒤 개학, 학부모 불안에 우선 설치 필요성

▲ 대전 서구 A 초등학교 앞에 고 김하늘(7) 양을 추모하는 물품이 줄지어 놓여 있다.

대전 A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1학년을 살해하는 참혹한 사건이 발생한 지 20일로 열흘이 되지만 현장은 달라진 게 없다. 당초 내부 CCTV가 없어 고(故) 김하늘(7) 양 수색이 늦어졌다는 비판이 일었음에도 대전시교육청은 관내 초등학교 전수조사 계획만 제시한 상태다. 불안에 떨고 있는 A 초교 학부모들은 2주 뒤 사건 현장에 자녀를 보내야 하는 상황이라 내부 사각지대에 대한 CCTV 우선 설치 필요성이 제기된다.

앞서 하늘 양은 지난 10일 오후 5시 50분경 다니던 초등학교 2층 시청각실 내 자재보관실에서 크게 다친 상태로 발견됐다. 하늘 양에 대한 실종신고는 학교와 가족 측이 실종 정황을 인지한 지 25분 만인 같은 날 오후 5시 15분경 접수됐는데 사라진 지 약 1시간, 실종신고 약 35분 만에 믿을 수 없는 모습으로 발견된 거다. 하늘 양이 마지막으로 있었던 늘봄교실과 불과 20m 떨어진 곳에서다.

지척이었음에도 경찰이 하늘 양의 행적을 곧바로 파악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교내 CCTV가 미설치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은 먼저 수색에 나선 A 초 교사 2명으로부터 “위층부터 찾으면서 내려왔는데 아이를 찾지 못했다”는 말을 듣고 학교 내 건물 주변, 운동장 등을 수색했다. 16회의 위치추적을 통해 나온 위치값을 토대로 인근 아파트까지 수색했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여론이 학교 내 CCTV를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에 무게가 쏠린 이유다. 교내 CCTV가 없어 하늘 양이 경찰에 바로 발견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빗발치면서 CCTV를 확대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교육부는 이 같은 요구를 반영해 교내 CCTV 설치 확대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고 사건이 발생한 대전시교육청은 CCTV 설치에 앞서 관내 초등학교 전수조사에 나섰다.

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에서 지원을 예정하고 있어 관내 모든 초등학교의 수요와 CCTV 설치 견적, 유지보수 비용, 서버 등을 조사하고 있다. 현재 CCTV 설치에 투입할 수 있는 재원이 없어 예산 확보가 우선이다. 조사 이후 지원할 계획인데 학교 방학이 2월 말까지라 기간은 고려해봐야 할 것 같다. 사건 이후 A 초에 설치된 CCTV는 없으며 현재 출입 통제만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형평성을 위해 모든 초등학교를 조사하고 여건에 맞춰 설치하는 게 당연한 수순인데 피살사건 현장에 아이를 보내야 하는 학부모 심정은 그렇지 않다. A 초 개학은 내달 4일로 2주도 남지 않았다. 불안이 잠식될 겨를이 없는 시간이다. 특히 사건 전후 현장이 달라진 게 없다는 점은 특별한 안전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인식을 남길 수 있다. 단 교실 내 CCTV 설치에 대한 찬반이 뚜렷한 만큼 복도나 동선상 사각지대 위주로 우선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대전지역 초등학교 학부모 C 씨는 “동네 구멍가게에도 있는 CCTV가 학교에 없는 게 의아하다. 최소한 복도나 계단 같은 사각지대는 설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CCTV가 설치돼도 동의하에 볼 수 있고 학부모가 보고 싶다고 함부로 볼 수 있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 신중히 접근할 문제지만 A 초만큼은 우선 설치돼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라고 말했다.

글·사진=김세영 기자 ksy@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