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공단 보급사업 종료
市 “업무협약 해지 요청 받아”
도시발전 인프라 확대 지연 위기
전문가들 “장기적 플랜 마련해야”

전기차 충전기 보급은 환경보호와 도시의 미래를 위한 핵심 인프라다. 배출가스 감소로 대기질이 개선되고 충전 편의성이 높아지면 전기차 전환이 가속화되기 때문인데 대전시의 전기차 급속 충전기 보급 속도가 저하될 처지에 놓였다.
17일 대전시의회에 따르면 24일 열릴 제285회 임시회 복지환경위원회에서 전기차 공용 충전인프라 민간보급 확대 업무협약 해지 보고가 이뤄질 예정이다. 앞서 시는 한국에너지관리공단과 업무협약을 맺고 국비와 지방비를 매칭해 관내 민간 급속 충전기 보급 사업을 펼쳐왔는데 이를 중단하게 됐다. 해당 사업이 종료를 맞게 되면서 더는 국비 지원이 어렵게 되면서다.
시 관계자는 “업무협약 체결 후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관내에 약 20기 정도의 급속 충전기를 설치했다. 그런데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사업 종료에 따라 업무협약을 해지해달라는 요청이 왔다. 앞으로 전기차 충전기 인프라 보급은 환경부 사업으로 진행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시의 전기차 급속 충전기 보급 사업은 종료되나 역설적으로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은 더 강조되고 있다. 전기차 충전기 보급은 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필수 요소인 까닭에서다. 물론 시는 급속 전기차 충전기 보급 이외에 별도로 완속 충전기 보급 사업을 시행해왔지만 시에 따르면 이마저도 수요가 없어 지난해까지만 이뤄졌다는 설명이다.
시의 말마따나 수요가 없을 수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전기차 충전기 보급이 지속가능한 교통 체계를 구축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플랜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내놓는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타지에서 전기차를 타고 대전 오면 충전하기가 너무 힘들고 애플리케이션이랑 웹을 다 뒤져봐도 마땅한 곳이 없다는 하소연을 많이 한다. 폐쇄적인 곳에 설치하니까 당연히 이용률, 수요가 없다고 보여지는 것이다. 시가 단순하게 수요가 없다고만 볼 게 아니라 쓸 만한 곳에 인프라를 깔아서 10~20년 후를 내다보는 체계적인 접근을 해나가야 한다”라고 꼬집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