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식축산폐지연대, 충남도 추진 정책 폐지 촉구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자유연대, 살처분폐지연대 등 9개 단체로 구성된 공장식축산폐지연대는 14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가 추진하고 있는 AI 돼지빌딩의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돼지빌딩 같은 공장식 축산은 동물복지의 심각한 후퇴이자 가축전염병 확산 위험이 증가한다며 충남도가 중국 후베이성의 돼지빌딩을 모델로 삼겠다는 것은 시대착오적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충남도가 협약을 맺은 중국 기업은 이미 6개 지역에서 250만 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동물복지 및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는 곳”이라며 “도는 1조 원의 펀드를 조성해 돼지빌딩을 비롯한 ‘스마트 축산 산업 산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러한 계획은 동물복지를 퇴보시키고 공중보건을 위협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도는 AI 축산 기술이 도입되면 노동효율성이 증가하고 경제적 이익이 커진다고 주장하지만, 정작 돼지들은 햇빛과 바람 한 점 들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서 살다가 6개월이 되기 전에 죽임을 당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이어 “공장식 축산의 가장 큰 문제는 과밀 사육이며 이는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며 “국제적 농장동물복지단체 CIWF는 2023년 보고서에서 중국 돼지빌딩이 높은 사육밀도와 다층 이동 방식으로 인해 질병 확산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경고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규모 밀집사육과 가축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항생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를 초래한다”며 “항생제의 남용은 사람에게도 위험한 내성균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항생제가 섞인 분뇨가 정화되지 않고 배출되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기후위기 시대에 맞춘 생명 존중의 정의로운 대전환이 필요하며 우리 사회는 돼지가 돼지답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원한다”며 “충남도의 AI돼지빌딩 정책은 생명 경시의 상징이며 시대에 역행하는 정책이다. 도는 지금이라도 이 계획을 전면 폐지할 것을 강력 촉구한다”고 밝혔다.
도는 지난 2월 중국 양돈 기업인 양샹그룹과 MOU를 체결하고 ‘AI 돼지빌딩’ 관련 기술과 장비를 도입하기로 했다. 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돼지를 사육하는 지역으로 2024년 기준, 1000여 개 양돈 농가에서 약 223만 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다.


내포=최신웅 기자 csu@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