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GDP 대비 민간소비 비율 지속 하락
기대수명 증가, 소비성향 끌어내려
고령화로 소비보단 저축성향 강해져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와 맞닿아

기대수명의 증가가 소비 성향을 감소시켰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명이 늘어나면서 퇴직 후 노후 대비를 위해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커졌다는 얘기다.
23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간(2004∼2024년)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77.8세에서 84.3세로 약 6.5세 증가했다. 반면 평균소비성향은 동기간 52.1%에서 48.5%로 3.6%포인트 줄었다. 평균소비성향은 소비지출에서 처분가능소득을 나눈 비율로 수치가 높을수록 소비가 잦았다는 의미인데 기대수명이 늘면서 퇴직 후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저축을 늘리는 반면 소비는 줄였다는 것이다.
지난 20년간 연평균 민간소비 증가율을 살펴보면 약 3% 정도인데 연평균 GDP 성장률은 4.1%로 민간소비 증가율이 GDP 성장률을 꾸준히 하회했다. 평균소비성향, 즉 GDP 대비 민간소비 비율이 하락해 왔다는 의미다. 이 같은 소비성향은 인구 전반의 생애주기와 생애 소득 흐름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요인들이 소비성향 하락의 주요 배경이 됐을 것이라는 게 KDI의 설명이다.
통상 기대수명의 증가는 소비성향을 하락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KDI는 기대수명 증가가 평균소비성향을 3.1%포인트 떨어뜨리린 것으로 추산했다. 기대수명이 1년 증가할 때마다 소비성향은 약 0.48%포인트 하락한다는 것이다. 즉 기대수명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생애 전반적으로 저축 성향이 강해진 것이 평균소비성향을 하락시켰다는 얘기다.
다만 KDI가 우리나라 소비성향의 장기 추세를 전망한 결과, 향후에도 당분간은 소비성향의 추가 하락이 지속되나 2030년대 중반부터 점차 반등할 것으로 추정됐다. 기대수명 증가세가 둔화하고 자산을 축적한 75세 이상 초고령층의 비중이 늘면서 소비성향이 다시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김미루 연구위원은 “저출생 기조가 지속되며 고령층 인구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면 생산가능인구가 축소되며 성장률이 더욱 하락하는 가운데 소비성향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따라서 민간소비 증가세가 경제성장률을 하회하는 현상도 점차 완화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KDI는 지난 20년간의 평균소비성향 하락이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와 맞닿아 있다고 봤다. 퇴직 후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고 불안정한 일자리에 종사하게 될 가능성에 대비해 저축성향이 상승(소비성향이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KDI는 설명했다.
평균소비성향 하락의 완화를 위해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제약하는 요인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 김 위원은 “연공서열형의 경직적인 임금구조를 개선하고 직무 및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정년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활성화하는 등 노동시장의 마찰적 요인을 해소해 고령층 노동 수요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고령 인력의 적절한 활용이 확대될 경우 저출생·고령화에 따른 잠재성장률 하락 압력을 부분적으로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제언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