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장애인 고용률 전년 대비 0.04포인트 상승
민간 고용률은 3.03%로 법정 의무 고용률보다 낮아

사진 = 고용노동부 제공
사진 = 고용노동부 제공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이 3.21%로 전년보다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민간부문은 고용률이 소폭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의무 고용률을 넘기지 못했다.

2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전체 평균 3.21%로 전년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 민간부문의 장애인고용률은 전년 대비 0.04%포인트 상승한 3.03%로 여전히 법정 의무고용률(3.1%)를 하회했지만 코로나19 이후 상승 추세가 지속되면서 법정 의무고용률과의 격차가 0.07%포인트로 좁혀졌다. 민간부문의 장애인고용률과 법정 의무고용률 격차는 1991년 의무고용제도 시행 이후 최저 수준이다. 민간기업 규모별로 보면 작년 100인 미만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2.05%로 가장 낮았다. 이어 1000인 이상(2.97%), 100~299인(3.39%), 300~499인(3.44%), 500~999인(3.47%) 등의 순이었다.

공공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3.9%로 의무고용률(3.8%)을 상회했다. 지자체 5.92%, 공공기관 4.05%, 중앙행정기관 3.36%, 헌법기관 2.83%, 교육청 2.52% 순으로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역할이 컸다. 다만 공무원의 장애인 채용은 다소 부진했는데, 교원·군무원 등 특정직 공무원의 비중이 큰 기관의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부문 공무원의 고용률은 2.85%, 노동자 고용률은 6.12%로 전년 대비 각각 0.01%포인트, 0.02%포인트 하락했으며 정부부문 고용률은 2년 연속 하락했다.

이외에도 전체 장애인 근로자 중 중증 장애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35.8%로 전년 대비 0.8%포인트 올랐다. 2020년(29.9%) 대비로는 5.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