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관련사업 총괄기관에 선정
대전, 국가 기술개발 거점 급부상
독자적 위성사업 기반 마련 집중
민간기업 성장·참여 확대는 과제

▲ 사진=챗GPT 제작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정부 저궤도 통신 시스템 구축 사업 총괄기관으로 선정되면서 대전시가 독자적 우주산업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다만 연구개발 중심지 역할을 넘어 자체 위성 개발과 부품 산업화까지 겨냥하고 있지만 민간 기업의 성장과 참여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3200억 원을 투입하는 저궤도 통신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6G 기반 저궤도 통신 시대를 대비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대덕특구 내 ETRI가 위성 통신탑재체와 지상국 기술 개발을 총괄하면서 대전은 국가 기술개발 거점으로 부상했다.

6G 기반 저궤도 통신 시스템은 기존 지상 통신망의 한계를 넘어 지구 전역을 초고속 인터넷망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통신 인프라로 평가된다. 스타링크, 원웹 등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 선점을 위해 경쟁하며 통신뿐 아니라 자율주행, 원격진료, 스마트시티 등 미래 산업 전반을 좌우할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이러한 흐름을 기회로 저궤도 위성통신 시대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적 행보에 나섰다. 2022년 우주산업 클러스터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로 지정된 이후 KAIST에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를 구축하고 초소형 위성 ‘대전SAT’ 개발, 국방우주 3D프린팅 제조센터 건립, 차세대 우주 통신부품 사업화 촉진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특히 초소형 위성 대전SAT는 향후 나로호에 탑재돼 실증을 앞두고 있다. 시는 자체 위성 제작·운용 역량을 확보해 독자적인 위성사업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우주통신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저궤도 통신 시대에는 수백 기의 초소형 위성을 대량 발사해야 하는 만큼 대전SAT 개발과 부품 산업화는 시 전략의 핵심 축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과제도 안고 있다. 시는 국가 기술개발 프로젝트 참여를 넘어 연구개발, 인재양성, 부품 상용화까지 아우르는 복합 생태계 구축을 지향하지만 실질적인 주도권 확보를 위해 민간 기업의 성장시켜야 해서다. 시 관계자는 “현재는 공공기관 중심 개발이지만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본격적으로 뛰어들지 않으면 결국 세계 시장에서는 밀릴 수밖에 없다.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초소형 위성 양산 능력과 실증데이터 축적에도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타개하고자 정부도 출연연구소의 축적된 기술을 민간에 적극적으로 이전·확산시켜 우주검증 이력 기회를 제공하는 등 지원에 나선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우리나라 우주항공 산업생태계 경쟁력 확보의 중심은 기업이다. 민간 주도의 개발 역량을 강화해 기술 활용 생태계를 조성하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