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곡절 끝 김문수 국힘 후보 등록
빅텐트 사활 걸고 선거운동 나섰지만
경선·단일화 후유증 극복 과제 남아
개혁신당 이준석도 독자 노선 기울어

사진 = 국민의힘
사진 = 국민의힘

‘김문수’로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정리됐지만 후유증이 적잖아 향후 대선 캠페인은 험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힘 입장에선 ‘반(反) 이재명 전선’을 최대한 확장해야 승산이 있어 보이는데 국힘 지도부의 대선 구상이 어그러지면서 본격적인 선거운동 개시 시점에서 스텝이 꼬였다.

당초 국힘은 경선을 통해 후보를 선출한 뒤 ‘반 이재명’을 연결고리로 외연을 확대해 ‘보수대 진보’의 진검승부 구도를 형성할 계획이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선포 사태에 대한 공동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만 그간 줄기차게 틀을 짜 놓은 ‘이재명 사법리스크’를 디딤돌로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졌다. 대선의 이슈 자체를 ‘이재명’으로 설정해 구도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외연 확장에 있어서도 반대급부를 취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그러나 ‘한덕수 전 총리’가 변수로 등장하면서 셈법이 복잡해졌다. 국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한 전 총리가 부전승으로 단일화 대상이 되버리자 당내 갈등 구조가 펼쳐졌고 이는 국힘 경선의 컨벤션효과를 끌어내리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럴 바에 경선을 뭣하러 하느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왔고 이 불만은 김문수 후보가 국힘 대선 후보로 확정되고 한 전 총리와 단일화 논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유지됐다. 김문수 후보가 후보 단일화와 관련해 버티기에 돌입하자 국힘 지도부는 후보 교체라는 특단의 조치로 맞섰지만 후보 선출의 정당성에 대한 불만이 끝내 발목을 잡았다.

‘상처뿐인 영광’에 만족해야 했던 김문수 후보의 발걸음은 더욱 빨라질 수밖에 없게 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 맞설 ‘빅텐트’를 구축하는 게 급선무인데 당 내홍까지 봉합해야 한는 과제를 안고 있다. 당내 중도·개혁 보수 세력의 이탈은 일찌감치 시작됐고 ‘찐보수’로 통하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경선에서 탈락한 직구 정계은퇴를 선언하고 탈당했다. 결과적으로 갈등의 씨앗이 된 한 전 총리의 역할론도 현재로선 장담하기 어렵다. 김 후보는 후보등록 이후 한 전 총리와 만나 화합의 모양새를 엿보이면서 대선에서의 역할을 요청했지만 한 전 총리는 즉답을 피했다.

빅텐트에 대한 회의적 상황 전개도 부담이다. 빅텐트라는 게 외연 확장이 가장 큰 목표인데 현재로선 대상을 찾는 일도 어렵게 됐다. 범보수 진영으로 분류되는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변수로 남아 있긴 하지만 이 후보는 국힘의 내홍 상황을 지켜보면서 독자 세력화에 점점 기울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준석 후보는 후보등록 첫날인 지난 10일 완주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국민을 위험에 빠뜨렸던 세력, 기고만장해서 삼권분립까지 위협하려고 하는 또 다른 세력, 두 세력을 막아내겠다. 대한민국 헌법 정신을 살리고 다시 한번 대한민국이 도약할 기회를 만드는 게 역할이고 소명이다”라며 빅텐트 합류에 선을 그었다. 이 후보는 줄곧 한 전 총리에는 기회를 열어뒀지만 김문수 후보에겐 기회의 문을 닫아뒀던 터다.

당초 국힘 빅텐트 구상의 또 다른 축이었던 새로운미래 이낙연 상임고문과의 연대도 물 건너 갔다. 이 상임고문 역시 한 전 총리와의 ‘개헌연대’에 합의했을 뿐인데 국힘 단일화 국면이 파국으로 치닫자 이번 대선에서 자취를 감추기로 했다. 이 상임고문은 “양대 정당의 극단 정치로 미쳐 돌아가는 광란의 시대에 제가 선거를 통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는 것을 통감했다. 고심 끝에 이번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고 다른 사람의 선거를 돕지도 않겠다”고 했다.

김 후보 주변엔 이제 극우 성향의 정치세력만 남게 되는 형국이 펼쳐지고 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현재로선 가장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