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는 문화기술대학원 윤상호 교수와 미국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의 양장(YangZhang) 교수 연구팀의 VR 정밀포인팅 기술‘티투아이레이(T2IRay)’과 안무 창작 기술인 ‘코레오크래프트(ChoreoCraft)’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인(CHI) 2025에서 상위 5%에 주어지는 우수 논문상을 동시 2개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의 단편적인 엄지와 검지 제스처를 확장해 가상공간 안의 물체를 자유롭고 정밀하게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입력 방식을 제안하는 티투아이레이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에는 손의 위치나 방향이 달라져도 입력이 끊기거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티투아이레이에서는 손의 위치나 방향과 관계없이 정밀한 포인팅이 가능하도록 해 사용자가 훨씬 자연스럽고 끊김없이 조작할 수 있다.
아울러 연구팀이 개발한 코레오크래프트는 가상현실에서 안무가들이 창작 작업을 보다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가상현실(VR) 공간에서 춤 동작을 모션 캡쳐 기반의 아바타와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 동작을 저장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해 기억 의존을 줄였으며 음악 및 이전 동작과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고려해 새로운 안무를 추천해 창작을 돕는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윤 교수는 “공간 컴퓨팅을 넘어 피지컬 인공지능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술을 융합해 실세계와 가상세계에서 인간의 능력을 확장하는 인간 중심 인터랙션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