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아이폰17 시리즈의 가격 인상을 검토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애플이 오는 9월 공개할 예정인 신형 아이폰17 시리즈의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17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디자인을 변경하는 동시에, 이에 따른 가격 인상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달러 기준으로 아이폰 가격이 오르는 것은 지난 2022년 이후 3년 만이다. 현재 아이폰 기본 모델은 128GB 기준 799달러, 고급형인 프로맥스 모델은 256GB 기준 1,199달러부터 시작된다.

새롭게 추가될 기능이나 가격 인상 폭은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새 운영체제의 전반적인 디자인이 바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아이폰16 플러스(899달러)를 대체할 더 얇은 모델이 새로운 라인업에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애플은 아이폰을 여전히 중국에서 대량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까지 일부 모델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제외 품목으로 지정돼 관세 부담이 없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펜타닐 관세’로 불리는 20% 관세는 적용되고 있다.

공급업체를 통한 비용 절감만으로는 이 관세 부담을 상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애플의 수익성이 크게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팀 쿡 CEO / AP연합
팀 쿡 CEO / AP연합

팀 쿡 애플 CEO는 이달 초 실적 발표에서 "현재 관세로 인해 이번 분기에만 9억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이후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애플 내부에서는 가격 인상 시 이를 관세 탓으로 보이게 하지 않도록 조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아마존이 일부 제품에 관세 추가 금액을 따로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백악관으로부터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는 지적을 받고 철회한 일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애플은 아이폰 생산을 중국 외 지역으로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상당량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테크인사이트의 분석가 아빌라시 쿠마르는 “2026년 말이나 2027년 초까지 인도 공장이 미국과 인도의 아이폰 수요를 모두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하지만, 부품 조달에는 여전히 중국이 중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