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퇴직공제 가입 외국인 건설근로자수 11만 명, 충남 6966명

사진 = 건설근로자공제회 제공
사진 = 건설근로자공제회 제공

충남의 외국인 건설근로자수가 수도권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건설근로자공제회가 발표한 ‘건설현장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업에서 일한 외국인 근로자는 전체 건설 근로자의 14.7%에 해당하는 22만 9541명이다.

외국인 건설근로자 비율은 2020년 11.8%에서 2021년 12.2%, 2022년 12.7%, 2023년 14.2%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체류자격과 국적이 확인된 근로자 중에서 한국계 중국인이 83.7%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미얀마 등 동남아 출신도 일정 비중을 차지했다. 체류자격은 F-4(재외동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F-5(영주), H-2(방문취업) 비자가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도 근로자 수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퇴직공제에 신고된 전체 외국인 근로자 수는 월평균 11만 4186명으로 나타난 가운데 광역시도별 근무 근로자 수 기준으로는 경기도가 4만 3468명으로 비중(38.3%)이 가장 높았다. 서울은 2만 1011명(18.5%), 인천은 1만 916명(9.6%)으로 집계되는 등 수도권의 비중이 컸다. 뒤이어 충남이 6966명(6.1%)으로 수도권 세 곳을 제외하고 가장 많았으며 충북은 4880명(4.3%)으로 충남 다음으로 많았다.

한편 지난해 외국인 건설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5년 3개월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6년 2개월), 경기(5년 12개월), 인천(5년 8개월) 순으로 나타나는 등 수도권 지역의 근속기간이 비교적 길었다. 충청권에서 충남은 5년, 대전은 4년 7개월, 충북 4년 6개월, 세종 4년 5개월 등 평균 근속기간을 넘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영 기자 now@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