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11.7%p↑, 유료 구독 경험도 7배↑

국민 4명 중 1명은 챗지피티(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써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29일 이런 내용의 ‘2024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하루 1회 이상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전국 17개 시도 만 15~69세 이하 442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24%가 생성형 AI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전년도 대비 11.7%p 늘었다. 유료 구독 경험은 7%로 전년도(0.9%) 대비 약 7배 증가했다. 텍스트 생성(57.2%), 음성·음악 생성(21.4%), 이미지 생성(11.8%) 순으로 많이 이용했는데 텍스트 생성이 대다수(81%)를 차지했던 전년에 비해 활용성이 다양화됐다.
이용 동기는 정보검색에 효율적이라는 의견이 87.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일상 업무 지원에 도움(70%), 대화 나눌 상대 필요(69.5%) 등의 순이다. 이용 동기에 대한 수치는 전년 대비 전반적으로 높아졌다. 반면 생성형 AI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높은 지식수준을 요구해 이용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65.2%), ‘개인정보가 유출될 것 같아서’(58.9%), ‘이용하기 복잡할 것 같아서’(57.3%)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성형 AI 확산에 따른 역기능으로는 일자리 대체(60.9%), 창의성 저하(60.4%), 저작권 침해(58.8%), 범죄 악용 가능성(58.7%) 등이 제시됐다.
포털과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대표적인 이유로는 ‘내 취향에 잘 맞춰져 있다’(포털 72.1%, 유튜브 71.3%)를 꼽았다.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는 포털과 유튜브 모두 전년도에는 ‘가치관 편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포털 49.9%, 유튜브 51%), 올해의 경우 포털은 ‘불법 정보의 노출 우려’(47.4%), 유튜브는 ‘개인정보의 유출 우려’(48.2%)가 가장 높았다. 이용자가 인공지능 추천 서비스 제공자에게 요구하는 윤리적 책무 조사에서는 ‘알고리즘의 콘텐츠 선별 기준 공개’에 대한 요구(69.8%)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능정보 서비스 이용 경험이 가장 많은 분야는 소비(53.9%), 금융(51.7%), 미디어(37.8%) 순이었고 전년도 대비 이용 경험이 증가한 분야는 헬스(37.4%), 의료(19.7%), 금융(51.7%) 순이다. 향후 지능정보 서비스가 이용자의 삶을 개선시켜 줄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는 의료(92.4%), 금융(88.9%), 소비(84.6%) 순으로 응답해 전년도와 같았다.
박동규 기자 admi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