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지역화폐 대전사랑카드와는 별도 운영
사용 금액 7% 이내 결제 후 포인트로 환급

대전 중구가 10일부터 자체 지역화폐인 중구통(通) 발행을 시작하며 지역경제 살리기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 중구통은 기존 대전시의 통합 지역화폐인 대전사랑카드와는 별도로 운영된다. 골목경제 회복과 자금 순환이라는 지역밀착형 경제정책의 효과를 검증받게 될 첫 사례다.

9일 구에 따르면 중구통은 모바일 기반 디지털 지역화폐다. NFC 및 QR코드 결제를 지원해 별도 지류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본 인센티브는 결제액의 7% 이내, 집중 가입 기간 등 특별 기간에는 최대 10%의 캐시백이 제공된다. 1명당 월 30만 원 사용액까지 인센티브 한도가 설정되며 예산 조기 소진 시 추가 편성도 검토한다는 게 구의 계획이다.

중구통의 특징 중 하나는 결제 후 포인트 환급, 즉 후(後) 캐시백 구조다. 충전 시점이 아닌 실소비 시점에 인센티브가 주어져 사용 유도를 강화했다. 또 하나의 차별점은 가맹점 간 재사용 시 제공되는 3% 순환 인센티브다.

구는 이를 통해 소비 흐름이 한 번에 끝나지 않고 지역 내에서 계속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남은 포인트를 사회복지기관이나 사회적 기업에 기부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했다. 단순한 소비 수단을 넘어 사회적 연대 기반 소비로 확장하겠다는 의도다.

김제선 청장은 “자영업자 매출 유입을 유도하고 외부로 빠져나가던 소비 자금이 지역 내에서 순환되도록 했다. 구만의 민생경제 해법인데 단기 소비 유도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자립 기반이 되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해결할 과제도 남아 있다. 운영대행사로 선정된 민간업체의 재무 안정성에 대한 지적이 대표적이다. 고령층이나 디지털 취약계층의 접근성 우려도 걱정거리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단독 입찰에 따른 평가 기준 충족과 결제금 별도 예치 계좌 운영으로 문제없다. 접근성 우려도 카드형 발급, 경로당 방문 설치 지원, 추천가입 인센티브 등을 통해 대응하겠다”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가장 두드러지는 쟁점은 대전사랑카드와의 연계를 두지 않고 구가 독자 시스템을 도입한 점이다. 일부에선 이를 두고 지역 간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 청장은 “기존 시스템은 사용률이 낮아 실효성이 떨어졌다. 자치구 실정에 맞는 정책이 오히려 현실적인 대안이다”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이장우 대전시장은 최근 확대간부회의 등에서 지역화폐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에 의문부호를 띄우며 축소 필요성을 시사했는데 김 청장은 “정치적 의도는 없다”라고 선을 그었지만 구가 별도 화폐 발행을 강행하면서 시정 방향과의 정책 엇박자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9일 대전 중구청에서 중구통 출시 기자회견이 열려 김제선 청장이 브리핑하고 있다. 이준섭 기자
9일 대전 중구청에서 중구통 출시 기자회견이 열려 김제선 청장이 브리핑하고 있다. 이준섭 기자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