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 공격 여부를 놓고 고심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이란에 '2주'라는 시한을 주고 외교를 통해 핵무기 개발 포기를 다시 압박하고 나섰다.
'최후통첩' 성격의 협상 제안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대독한 성명에서 "난 가까운 미래에 이란과 진행되거나 진행되지 않을 수 있는 협상의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사실에 근거해 (이란을 공격)할지 안 할지를 향후 2주 내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이란이 2주 내 만족할 만한 합의를 하지 않으면 공격할 수도 있다는 '최후통첩'으로 여겨진다.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 지원 여부를 계속 고민해왔다. 군사 지도부가 입안한 이란 공격 계획을 이미 승인했으며 최종 공격 명령만 내리지 않았다는 미 언론 보도도 잇따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이란 지도부 제거 가능성을 경고하며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기도 했다.

위험 부담 고려한 '협상 카드'
트럼프 대통령이 2주라는 협상 시간을 준 것은 미국의 직접적인 군사 개입에 따르는 위험 부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전문가들은 군사 개입이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처럼 장기화될 수 있으며, 이란의 핵시설은 미군 벙커버스터로도 완전히 제거한다는 보장이 없다고 우려해왔다. 또한 중동 전쟁 참여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와 배치돼 정치적 부담이 적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이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약해진 틈을 노려 군사 개입 카드로 최대한 압박하며 협상을 통해 유리한 합의를 끌어내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레빗 대변인은 "대통령은 외교의 기회가 있으면 항상 포착할 것이지만 무력을 사용하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란의 선택, 그리고 향후 공격 정당성 확보 포석
이제 관건은 이란이 주어진 시간 동안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있느냐다. 레빗 대변인은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해서는 안 되며 핵무기를 개발할 수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전에 이란이 거부했던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의 제안은 우라늄 농축 포기와 지하 핵시설 가동 중단, 그리고 미국과 이란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의 저농축 핵연료 공급 방안을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은 지난주 이스라엘 공격 직후 미국과의 핵 협상을 중단했지만, 레빗 대변인은 그간 미국과 이란 간에 교신이 계속되어 왔다고 밝혔다. 최후통첩을 보낸 만큼 트럼프 대통령은 군사 개입 가능성을 앞세워 이란에 대한 압박을 더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사흘째 백악관 상황실에서 국가안보회의를 소집했으며, 주말에도 국가안보팀으로부터 정보보고를 청취할 예정이다.
한편, 미국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러시아에도 '2주 시한'을 제시했지만, 시한이 지나고서도 아무런 대응 조치를 하지 않았던 전례를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