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성 댓글 98.5% 탐지, 어떤 AI가 생성했는지 84.3% 식별

▲ 한국어 ‘AI 생성 댓글’ 탐지 기술 개발한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용대 교수(왼쪽)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고우영 연구원. KAIST 제공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용대 교수 연구팀이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협력해, 한국어 AI 생성 댓글을 탐지하는 기술 ‘XDAC’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그동안 AI 생성글 탐지 기술은 대부분 영어로 된 장문의 정형화된 글을 기반으로 개발돼 한국어의 짧은 댓글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짧은 댓글은 통계적 특징이 불충분하고 이모지·비속어·반복 문자 등 비정형 구어 표현이 많아 기존 탐지 모델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팀은 14종의 다양한 LLM 활용, 자연스러움 강화, 세밀한 감정 제어, 참조자료를 통한 증강 생성의 네 가지 전략을 적용한 AI 댓글 생성 프레임워크를 개발, 실제 이용자 스타일을 모방한 한국어 AI 생성 댓글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이 중 일부를 벤치마크 데이터셋으로 공개했다. 또 설명 가능한 AI(XAI) 기법을 적용해 언어 표현을 정밀 분석한 결과, AI 생성 댓글에는 사람과 다른 고유한 말투 패턴이 있음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AI는 “것 같다”, “에 대해” 등 형식적 표현과 높은 접속어 사용률을 보인 반면 사람은 반복 문자(ㅋㅋㅋㅋ), 감정 표현, 줄바꿈, 특수기호 등 자유로운 구어체 표현을 즐겨 사용했다. 특수문자 사용에서도 AI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표준화된 이모지를 주로 사용하는 반면, 사람은 한국어 자음(ㅋ, ㅠ, ㅜ 등)이나 특수 기호(ㆍ, ♡, ★, • 등) 등 문화적 특수성이 담긴 다양한 문자를 활용했다. 특히 서식 문자(줄바꿈, 여러 칸 띄어쓰기 등) 사용에서 사람 작성 댓글의 26%는 이런 서식 문자를 포함했지만 AI 생성 댓글은 단 1%만 사용했다. 반복 문자(ㅋㅋ, ㅎㅎ 등) 사용 비율도 사람 작성 댓글이 52%로, AI 생성 댓글(12%)보다 훨씬 높았다. XDAC는 이러한 차이를 정교하게 반영해 탐지 성능을 높였다. 또 각 LLM의 고유 말투 특징을 파악해 어떤 AI 모델이 댓글을 생성했는지도 식별 가능하게 설계됐다.

이러한 최적화로 XDAC는 AI 생성 댓글 탐지에서 98.5% F1 점수(F1 score, 정밀도와 재현율의 조화평균)로 기존 연구 대비 68%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댓글 생성 LLM 식별에서도 84.3% F1 성능을 기록했다. 고우영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생성형 AI가 작성한 짧은 댓글을 높은 정확도로 탐지하고 생성 모델까지 식별할 수 있는 세계 최초 기술”이라며 “AI 기반 여론 조작 대응의 기술적 기반을 마련한 데 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7월 27일부터 개최되는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 ‘ACL 2025’ 메인 콘퍼런스에 채택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