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레에 설치된 루빈천문대.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세계 최대 남반구 전천 탐사 관측 사업인 LSST(Legacy Survey of Space and Time, 차세대 시공간 탐사 관측)을 수행하게 될 베라 C. 루빈천문대(이하 루빈 천문대)가 첫 영상을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LSST는 칠레에 위치한 구경 8.4미터의 탐사 전용 대형망원경인 시모니 서베이 망원경을 이용해 남반구 전체 밤하늘을 관측하는 사업이다.

루빈천문대의 시모니 망원경은 2015년부터 건설을 시작했으며 지난 3월 LSST 카메라까지 설치해 이번 첫 번째 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카메라로 기네스 세계기록에 오른 LSST 카메라는 3.2기가 픽셀로, 보름달 45개가 들어갈 만큼 넓은 하늘 영역을 한 번에 관측할 수 있다.

LSST는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남반구 하늘 전체를 6개의 광학 필터로 3~4일마다 한 번씩 스캔하면서 10년 동안 관측할 계획이다.

이번에 공개된 영상은 모두 4개로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처녀자리 은하단, 새로운 소행성, 별의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 관측 영상, 석호성운(Lagoon Nebula)과 삼엽성운(Trifid Nebula) 등이다.

천문연은 LSST 자료접근권을 확보한 국내 유일한 기관으로서 국내 연구자들에게 LSST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천문연 신윤경 책임연구원은 “순간 포착하는 데 그치는 단기적인 관측이 아니라 10여 년에 걸쳐 우주에 일어나는 변화를 관측하기에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타임랩스 영화처럼 볼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인류는 역동적으로 변하는 우주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그 기원을 조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루빈천문대가 촬영한 처녀자리 은하단 일부.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루빈천문대가 촬영한 처녀자리 은하단 일부.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루빈천문대가 촬영한 석호성운(Lagoon Nebula)과 삼엽성운(Trifid Nebula).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루빈천문대가 촬영한 석호성운(Lagoon Nebula)과 삼엽성운(Trifid Nebula).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