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지지도 취임 한달 새 3.5%p 상승
수도권·영남서 큰 폭으로 지지율 견인
충청권선 급상승 뒤 하락세 전환 흐름
해수부 연내 부산 이전 속도전 맞물려
‘행정수도 세종’ 완성 로드맵 제시해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취임 한 달 만에 60%를 넘겼다. 수도권과 영남권에서 지지율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다만 충청권에선 상승 흐름이 꺾이는 양상이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달 30일부터 4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남녀 2508명을 대상으로 조사(무선 ARS 조사,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2%p)한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2.1%(전 주 대비 2.4%p 상승)가 잘한다고 답했고 31.4%는 못한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 평가는 취임 직후부터 4주 연속 상승세다. 당선 직후 58.6%였던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1주일 단위로 59.3%, 59.7%로 뛰었고 다시 60%를 넘어섰다. 반면 부정 평가는 34.2%, 33.5%, 33.6%, 31.4%로 낮아지는 추세다.
전 주 대비 국정수행 긍정 평가가 상대적으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인 건 취임 한 달 기자회견과 국민소통 행보의 일환인 타운홀미팅, SKT 유심 해킹 사태에 대한 정부의 개입 조치 등 소통·민생경제 분야 업무추진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리얼미터는 “최근 발표된 부동산 정책과 대출 규제 이후 서울지역에서 두드러진 지지율 상승세를 보이면서 전체 지지율 상승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지역 응답자의 긍정평가는 전 주 대비 7.6%p나 뛴 61.1%를 기록했다. 부산·울산·경남(58.2%)과 대구경북(53.9%)에서도 각 4.4%p, 3.8%p 상승했다.
그러나 긍정 평가가 높아지는 전반적인 흐름에 비춰 충청권에선 이상 신호가 감지된다. 충청권 긍정평가는 취임 직후 59.8%에서 56.9%로 낮아졌다가 6월 4주차에 61.9%로 크게 올라 반등의 발판을 마련했는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이슈와 맞물려 59.9%로 반등 흐름이 꺾였다.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을 불가역적 결단으로 규정, 충청권에 양해를 구했고 이튿날 충청권 타운홀미팅에서도 거듭 충청권 국민들에게 이해를 당부했다. 이 과정에서 이 대통령은 ‘충청권의 경우 국가균형발전 정책과 맞물려 많은 혜택을 받았으니 정부기관을 다 갖겠다고 하지 말고 이번엔 양보해줬으면 좋겠다’는 식으로 설득에 나서면서 말꼬투리를 잡히고 말았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수도권 일극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국가균형발전전략 차원에서 세종시에 정부기관을 모아놓은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조성한 것을 두고 ‘혜택’이라고 표현한 것은 문제가 있다. 특히 대전과 충남의 경우 혁신도시 지정에서 배제되는 역차별을 받기도 했다”며 “왜 해수부 부산 이전이 필요한가에 대한 국가 정책적 판단으로 충청권의 이해를 구하고 대신 충청권이 실질적인 행정수도 권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당근책, 예를 들어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로드맵 등을 제시하는 방식이었으면 어땠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의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대전청사에 있던 중소기업청이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했을 때 정부기관은 모여 있어야 효율적으로 작동한다는 논리로 세종시로 이전했다. 대전시민들은 반발했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 공약을 이행하면서 과천에선 반발했지만 대전에선 가까스로 들끓던 여론이 수그러들었다.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의 명분은 국가 전체적인 국방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방 생태계가 밀집한 충청권에 있는 것이 이익이라는 것이었다”며 “이재명 대통령은 ‘해양수도 부산’ 공약 이행을 위한 해수부 이전에 방점을 찍었다. 이것이 국가 전체적인 이익에 부합한다고도 했다. 충청권도 이번 사안과 관련해 방위사업청 이전과 같은 맥락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이후 대응은 하나다. 이에 상응하는 대체재를 받아내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기준 기자 lk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