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대병원 강지현 교수 등 첫 인식조사
비만 관련 용어 환자 중심 인식전환 필요

비만은 신체 건강뿐 아니라 정서·심리적 건강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라 치료가 필요한데 사회적 낙인이 적잖아 병원을 찾는 이들은 많지 않다. 표현만 순화하면 이들을 치료의 길로 이끌 수 있다는 단서가 건양대학교병원 강지현 교수와 가천대학교 길병원 김경곤 교수를 통해 확인됐다.
비만대사연구학회 소속 강 교수와 김 교수 연구팀은 최근 전국 10개 병원에서 모집한 체질량지수(BMI) ㎡당 30㎏ 이상 성인 비만 여성 321명과 하이닥에 소속된 의사 회원 171명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의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비만을 지칭하는 9개의 질병 관련 용어와 비만인을 지칭하는 14개의 환자 관련 용어에 대해 표현의 주관적 인식도와 적절성을 5점 척도로 평가했고 비만병과 비만병환자라는 용어가 비만 여성과 의료진 모두에게 가장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 건강체중초과, ‘체질량지수가 높은 사람’은 긍정적인 표현으로 꼽혔다. 의학 전문 용어인 비만병이라는 표현은 ‘병으로 낙인찍히는 느낌이 불쾌하다’라는 답변이 다수였다.
흥미로운 점은 비만 여성과 의료진 사이의 관점 차이다. 비만이란 표현을 쓰지 말아야 할 이유로 ‘비난과 차별 최소화’를 꼽은 비만 여성은 69.5%나 됐는데 의료진은 12.3%에 그쳤다. 반대로 ‘의학적이고 전문적인 표현’을 선호한 비율은 의료진이 48%, 비만 여성은 7%에 불과했다.
연구 결과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조사한 첫 번째 연구로 의료 현장에서 환자 중심의 언어 사용이 왜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운 사례로 평가된다. 강 교수는 “의료진이 무심코 사용하는 의학 전문 용어와 표현이 환자에게 불필요한 낙인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한 첫 사례다. 표현만 달라져도 환자에게는 비만에 대한 낙인감을 줄이고 치료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