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KISTI에 구축 예정

대전시가 정부가 처음으로 도입하는 상용 양자컴퓨터 설치지로 확정되며 대한민국 양자기술 허브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
시에 따르면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사업 주관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미국 아이온큐(IONQ)의 1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Tempo’가 내년 KISTI 대전 본원에 설치된다. 큐비트(Qubit)는 양자컴퓨터의 최소 정보 단위로 0과 1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어 복잡한 연산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다.
사업은 양자컴퓨팅 상용화를 위한 국가 핵심 R&D 과제로 2028년까지 482억 원의 국비가 투입된다. 설치될 장비는 이온트랩(Ion Trap) 방식으로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갖춘 양자컴퓨터로 평가받고 있으며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와 연계한 하이브리드 운용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번 양자컴퓨터 도입은 정부가 물리적 양자컴퓨터를 직접 확보하는 첫 사례로 단순한 인프라 구축을 넘어 산업 현장의 실질적 문제 해결과 양자 기술 저변 확대를 견인할 중대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시는 양자컴퓨터 유치를 통해 양자대학원, 양자팹, 테스트베드, 국제협력센터 등 이미 확보한 전략 자산들을 기초로 본격적인 양자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