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포트리콘 A,B,C‘ 세계 최초 합성...뇌질환 신약 개발 기대

KAIST는 화학과 한순규 교수 연구팀이 콩벌레와 공생하는 곰팡이에서 발견된 천연 항신경염증 물질인 ‘허포트리콘(herpotrichone) A,B,C’를 세계 최초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허포트리콘은 콩벌레의 공생균인 ‘허포트리시아(Herpotrichia) sp. SF09’에서만 극미량으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뇌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작용기전까지 확인돼 뇌 질환 치료제로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허포트리콘의 복잡한 구조를 연구실에서 화학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고안했다.‘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이라는 화학 반응과 수소결합이라는 분자 사이의 약한 끌어당김 현상에 주목, 수소결합을 섬세하게 설계하고 조절함으로써 허포트리콘을 만들었다.
연구실에서 행해진 핵심 딜스-알더 반응 과정에서 자연계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분자 구조들도 함께 만들어졌고, 이 중 일부는 우수한 약리 활성을 갖는 신규 천연물일 가능성이 높아 합성을 통해서 천연물을 예측한다는 측면에서 이번 연구의 의미가 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한순규 교수는 “이번 성과는 퇴행성 신경질환 관련해 약리 활성을 갖는 자연계 희귀 천연물을 최초로 합성하고, 복잡 천연물의 생체모방 합성 원리를 체계적으로 제시한 연구”라며 “앞으로 천연물 기반 항신경염증 치료제 개발과 해당 천연물군의 생합성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