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감 있는 3D 오디오 구현, 사실적 사운드 기술력 입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연구진이 개발한 ‘음원 위치 지연 기술’이 국제표준화기구인 MPEG의 몰입형 오디오 국제표준인 MPEG-I immersive audio 표준 최종안에 공식 반영됐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사실상 해당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됐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감형 오디오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이 국제표준을 선도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ETRI는 평가된다.
ETRI가 개발한 ‘음원 위치 지연 기술’은 전투기처럼 빠르게 이동하거나 천둥과 번개처럼 먼 거리에서 발생한 소리가 실제로 보이는 위치보다 약간 지연돼 들리는 현상을 실제와 같이 정밀하게 구현한다.
현실 세계에서는 소리의 발생 시점과 듣는 시점간 청각적 시간차를 자연스럽게 알 수 있지만, 기존의 가상 오디오 기술에서는 반영되지 않아 현실감과 몰입감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 같은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가상환경에서도 시간 기반의 청각 지각 요소를 구현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럽고 현실감 있는 3차원 오디오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기술은 향후 몰입형 가상현실(VR)은 물론 메타버스, 가상회의, 원격교육, 게임, 실감 공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TRI는 이번 기술을 바탕으로 동적 입체공간 미디어 획득·생성 및 실시간 콘텐츠 상호작용 기술 개발, 저지연·고품질 동시 지원 음향 압축 및 국제표준화 등에 힘쓸 예정이다.
ETRI 미디어부호화연구실 강정원 실장은 “이번 성과는 단순한 기술 제안이 아닌 국제표준 수립의 핵심 구성요소로 우리 기술이 인정받은 것으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실감미디어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오디오 기술 확보와 국제표준화 활동에 지속적으로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