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피에 관한 구체적인 매뉴얼 없어
위기 대피 표준매뉴얼 제작·배포해야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철도화재 발생 시 교통약자를 위한 재난 대피 매뉴얼이 마련돼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장애인단체는 철도재난 위기 대피 표준 매뉴얼 마련과 배포를 촉구했다. 21개의 장애인단체 실무책임자로 구성된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이하 솔루션)은 “반복되는 철도재난에 교통약자가 속수무책”이라면서 국토교통부 철도안전정책과에 관련 정책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2023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교통약자 수는 총인구 5133만 명의 30.9%인 1586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교통약자 수 1568만 명 보다 약 18만 명(1.1%) 증가한 수치다.

장애인은 위기 상황에서 거동, 감각, 정보 접근 등에 제약이 있어 신속한 대피가 어렵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2021년과 2022년 모두 화재 발생 시 장애인의 사상자 비율이 비장애인 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장애인 화재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3.6명으로 비장애인보다 약 9배(0.4명) 높았다. 솔루션 관계자는 “임산부와 장애인 등 교통약자는 재난 시 신속한 대피가 어렵다. 하지만 현재 지하철을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국토교통부의 구체적인 대피 매뉴얼은 마련돼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단지 ‘우선 대피 대상’으로만 분류될 뿐, 실제로 어떻게 대피해야 하는지에 대한 세부 지침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주장처럼 대전도 열차화재 대피 매뉴얼은 있지만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특성이 반영된 대피 방법은 마련돼 있지 않았다. 화재 발생 시 기본적으로 경보가 울리고 청각장애인을 위해 역사 내 전광판에 AI가 수어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시스템이 작동되는 정도다. 솔루션 관계자는 “국토교통부 철도안전정책과에 확인한 결과 철도에 대한 별도의 교통약자 대피 매뉴얼은 없으나 철도 운영자가 교통약자를 우선한 긴급대피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답했다”며 “국토교통부장관은 장애인을 포함한 교통약자의 특성을 반영하는 철도재난 위기 대피 표준 매뉴얼을 마련해 각 철도운영사에 보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더 이상 누군가의 희생으로 유지되는 안전은 반복돼서는 안 된다. 철저한 예방과 모두를 위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솔루션은 국토교통부에 교통약자 철도재난 위기 대피 표준매뉴얼 제작 및 배포, 철도운영사 대상 표준매뉴얼 배포 및 운영점검, 전국 통일 교통약자용 체험형 안전 훈련 체계 마련, 교통약자 철도 안전 체험·홍보관 조성, 장애유형별 시민안전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을 요청했다.

이주빈 기자 wg955206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