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 쏘임 환자 이송 7.5% 증가, 올해 심정지 환자 벌써 8명 발생

사진 = 소방청 제공
사진 = 소방청 제공

최근 3년간 여름철(7~9월) 벌집 제거 출동이 54% 증가했다. 특히 8월이 연중 가장 위험한 시기여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벌집 제거 출동은 2022년 19만 3986건에서 2024년 30만 4821건으로 연평균 25.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벌 쏘임 환자 이송도 6953건에서 7573건으로 연평균 4.4% 늘었다. 월별로는 8월이 가장 위험하다. 2024년만 보더라도 벌집 제거는 8월 11만 4421건, 벌 쏘임 이송은 2225건으로 한 달 수치로 최다를 기록했다. 올해의 경우 지난해보다 벌집 제거 출동 및 벌 쏘임 환자 이송 건수는 줄었지만 지난 10일 기준, 벌 쏘임 환자 이송 건수가 일 평균 54건으로 최근 3년간 벌 쏘임 사고가 가장 많았던 주간(2022년 8월 22일부터 28일)의 일 평균 벌 쏘임 이송 건수(107건)의 50%를 넘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 벌 쏘임 사고로 인한 심정지 환자는 8월 10일 현재 8명이 발생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예년처럼 10명 이상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이대별 심정지 환자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3년간은 모두 50대 이상이었으나 올해의 경우 40대 남성도 심정지가 발생했다. 나이와 상관없이 벌침 독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심정지에 이를 수도 있는 것이다. 꿀벌 침에 쏘이면 침이 피부에 박히기 때문에 신속히 제거 후 상처 부위를 소독·냉찜질해야 하지만, 말벌 침에 쏘이게 되면 침은 박히지 않으나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곧바로 119에 신고해야 한다.

박동규 기자 admi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