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 활성화 정책토론회 개최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가 경계선 지능 아동을 위한 통합 지원 기반 마련에 나섰다.
의회는 25일 소통실에서 황경아 의원(국민의힘·비례) 주재로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제도적 보완과 지역사회 연계 방안을 논의했다.
경계선 지능은 지적장애와 비장애의 경계에 놓인 상태로, 국내 인구의 약 15%가 해당될 정도로 흔하지만 제도적 지원은 부족하다. 주제발표에 나선 이정은 협동조합 함께하는연구 연구원은 “경계선 지능 아동의 규모가 상당하지만 제도 미비로 가정의 부담이 크다. 생애주기별 통합지원체계 구축과 가족·학교·지역사회의 연계,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최혜경 전국느린학습자부모연대 대표는 국회 입법 활동과 교육부·교육청의 논의 상황을 공유하며 “느린학습자 지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회의 결성과 목소리 반영이며 대학과 협력해 연구 근거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느린학습자에 대한 사회적 보호와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늘해랑 인천느린학습자부모회 대표는 “느린학습자 교육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면서 전문가 검증 체계가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전문 강의나 프로그램 문의는 느린학습자 권리옹호 활동을 하는 사단법인 느린학습자시민회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라고 말했다.
토론에서는 조기 발견과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공감이 모였다. 참가자들은 학교·가정·지역사회가 연계된 통합 지원과 지속가능한 제도적·재정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는 한목소리를 냈다.
황경아 의원은 “학교·가정·지역사회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맞춤형 지원체계가 마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