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테크노파크(대전TP)가 탑재체 개발 동향을 확인하며 우주 및 위성통신의 표준 체계에 대해 전문가와 머리를 맞댔다.
4일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열린 ‘대전 지역 우주·위성통신 정보통신기술(ICT) 표준 인사이트(ISI)’의 ‘기업이 열어가는 우주·위성통신’ 세션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컨텍, 넷커스터마이즈,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등 국내 대표 기업이 위성 및 지상국 사업 현황과 위성 탑재체 개발 동향을 소개하며 산업계의 최신 흐름을 전달했다.
‘정책과 표준이 이끄는 우주·위성통신’ 세션에서는 대전TP,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우주항공청,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이 참여해 대전시의 우주산업 육성 계획, 6G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현황, 우주·위성통신 표준화 전략맵 등을 발표했다. 이들은 정책·기술·표준화 과제를 폭넓게 다루며 산업의 미래 방향성을 모색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