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정아 “KT 구체적 수치 파악했으면서 피해기간 정확한 규모 안 밝혀”

사진 = 황정아 의원실 제공
사진 = 황정아 의원실 제공

KT가 해킹 사태 초기 미온적 태도로 방관하고 사태를 축소하려 시도했다는 지적을 받는 가운데 최근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태로 쏟아진 문의가 9만 건 이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드러난 것보다 더 큰 피해가 나올 수 있다.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대전 유성을)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KT 서비스 관련 문의 유선인 100번 또는 KT전담고객센터로 접수된 소액결제 관련 문의는 지난 11일 오후 6시 기준 9만 2034건이다. KT는 국회 등으로부터 ‘사태 초기 경찰 수사 상황만으로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피해 집계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라고 비판을 받았는데 이에 KT는 소액결제 피해 집계 건수를 278명, 피해 규모를 1억 7000여만 원이라 밝혔다. 또 황 의원이 요구한 ‘지난달 27 일부터 열흘간의 소액결제 이용자 수, 이용 금액 등’에 대한 자료 요구에 대해 ‘월별 관리 중으로 정확한 현황을 추출하지 못한다’라고 답했다.

이 같은 대응은 KT가 소액결제 정황을 278명으로 자체 추산한 걸 반박하는 수치이기에 ‘집계가 불가능하다’라는 건 어불성설이란 게 황 의원의 입장이다. 특히 이 같은 KT의 미온적 태도에 수치에 나오지 않은, 이른바 ‘그림자 피해자’도 폭증할 수 있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황 의원은 “로그기록과 요금이 모두 시스템상 남아있음에도 전체 소액결제 거래 현황을 파악할 수 없다는 KT의 의문스러운 태도가 결국 해킹 피해 규모를 축소하기 위한 건 아니었는지 의문스럽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직접 소액결제 내역을 파악해 실제 피해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밝히고 축소 은폐 행위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가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