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 치유, 통합 전제하며 사태 해결”
이르면 이주부터 전국 시·도당 돌며 소통
비대위 전환 따른 전대 일정 연기 없을 듯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이 피해자의 상처 치유, 온전한 보상, 재발 방지, 제도 개선 등을 공언했다.
조 위원장은 15일 국회에서 열린 첫 비대위 회의에서 성 비위 사건 피해자에게 사과의 뜻을 전한 뒤 “당이 법률적 절차와 판단에 치중해 마음을 읽지 못했다는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 저부터 통렬하게 반성하겠다”라고 말했다.
앞서 강미정 전 당 대변인이 성 비위 사건 발생에 대한 혁신당의 미온적인 태도를 질책하면서 탈당했으며 이에 혁신당은 비대위 체제로 전환됐다.
조 위원장은 사태 해결을 위해 소통, 치유, 통합이란 원칙을 전제하고 피해자 실명 거론 금지, 피해자에 대한 악의적 보도 대응을 위한 상시기구 출범, 인권보호를 위한 상시기구 설치 등을 약속했다.
당원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조 위원장은 “모든 당원이 비대위원이다. 당원의 뜻이 비대위에 수평적으로 반영돼야 한다. 이르면 이주부터 전국 시·도당별 ‘당원과의 대화’를 시작하겠다”라고 밝혔다.
조 위원장은 전날 성 비위 사건 가해자로 지목돼 제명된 김보협 전 수석대변인이 성희롱·추행이 없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 “제명이라는 당 결정은 변함이 없다. 피해자 회복, 치유를 위해 매진하겠다”라고 단호하게 말하며 강 전 대변인 요청에 따라 대리인을 통한 의사소통을 이어가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어진 비공개회의 이후 박병언 대변인은 “탈당한 피해자가 원하면 1년 내 복당이 금지된 기존 당헌·당규를 예외 적용해 즉시 당적을 회복하고 원하는 당직 또는 당무를 맡을 수 있게 할 것을 조 위원장이 지시했다. 정책 문제를 떠나서 ‘진심으로 진심을 얻겠다’란 기조 아래 여러 가지 토론을 하고 있다. 공동체적 해결을 위해 움직이려고 한다”라고 설명했다.
비대위 출범으로 인해 변경 가능성이 제기된 11월 전당대회 일정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논의된 게 없는데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오는 11월 23일 준비된 대로 열 것이다”라고 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