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집중형 전력망 구조적 한계
타지역에 의존하는 불균형 심화
자급률 3.3%로 전국 최저 수준
市, 소규모 분산형 태양광 추진
수소 혼소 발전소 건립 등 검토

대전의 전력자급률이 전국 최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발전소가 해안과 산업단지에 몰린 중앙집중형 전력망 탓에 대전은 타 지역 전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대전시가 분산형 전원과 가상발전소(VPP)를 대안으로 모색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이 한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7월 기준 충남은 발전량 5만 2613GWh, 판매량 2만 9144GWh로 자급률이 180%를 넘겼다. 화력발전소가 집중된 결과다. 반대로 대전은 발전량 196GWh, 판매량 5884GWh로 자급률이 3.3%에 그쳤다. 충북도 발전량 3990GWh, 판매량 1만 5576GWh로 25.6% 수준이다. 지역 내 전력생산 대비 소비가 압도적이라는 얘기다. 세종은 발전량 2990GWh, 판매량 2451GWh로 자급률 119%를 보이며 비교적 균형을 이뤘다.
대전의 낮은 자급률은 단순히 전력이 부족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발전소가 입지 조건상 해안과 산업단지에 몰리면서 전력망이 중앙집중형으로 굳어진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생산지는 환경 부담을 떠안고 소비지는 타 지역 전력에 의존하는 불균형이 심화됐으며 대전의 전국 최저 자급률 역시 이런 구조적 한계의 결과물이다.
대전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태양광 보급을 확대하고 열병합발전소 현대화 사업도 산업통상자원부 승인을 받아 진행 중이다. 시 관계자는 “현대화가 완료되면 자급률이 약 32%까지 높아질 수 있다. 수소 혼소 발전소 건립도 검토하고 있으며 정부가 마련한 VPP와 배전망 확충 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26일 국가기관 전력망 특별법 관련 중앙부처 논의에도 동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의 대응은 정부가 내세우는 분산형 전원 정책과 궤를 같이한다. 분산형 전원은 전력 수요지 인근에 소규모 발전 설비를 둬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구조로 송전망 건설 부담을 줄이고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계통 안정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 수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특히 ICT 기반으로 전국에 흩어진 분산 자원을 통합·관리하는 VPP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대전시가 준비하는 태양광은 대표적인 소규모 분산형 발전이고 열병합발전소는 도심에서 전기와 열을 동시에 공급하는 지역형 설비다. 수소 혼소 발전소 역시 차세대 분산형 친환경 전원으로 꼽히며 이런 구상은 정부의 분산형 전원 정책과 직결된다. 정부도 같은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분산형 전원 체계 전환을 위해 2028년까지 10조 2000억 원을 배전망 확충에 투입하겠다고 밝히면서다.
박 의원은 “분산형 전원 고도화는 전력 불균형 해소와 탄소중립 달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