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맞춤형 치료제 개발 기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핵산치료제연구센터 차현주 박사 연구팀은 단백질 변형 효소인 ATE1이 유방암 세포에서 종양 성장을 촉진하는 핵심 인자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먼저, 대규모 유방암 환자 유전체 데이터(TCGA)를 분석해 ATE1이 정상 세포보다 유방암 세포에서 현저히 높게 발현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ATE1이 많이 나타난 환자일수록 치료 결과가 좋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세포주 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ATE1 억제 시 암세포의 증식과 전이 능력이 뚜렷하게 줄어드는 반면, 정상 세포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유방암 세포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도 ATE1 억제 시 종양의 크기와 무게가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가 확인됐다. 이는 ATE1이 단순히 실험실에서만 관찰되는 현상이 아니라 살아 있는 몸속에서도 유방암 성장을 돕는다는 확실한 증거로 볼 수 있다.
이번 성과는 유방암 연구와 치료 전략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ATE1은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직접 겨냥한 신약 개발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기 때문이다.
차 박사는 “우리가 밝혀낸 ATE1은 암 환자의 치료 결과를 좌우할 수 있는 핵심 단서가 될 수 있다”며 “앞으로 암 연구의 새로운 길을 열고, 부작용이 적은 맞춤형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