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그계의 큰 기둥이었던 故 전유성이 영면에 들었다. 그의 애제자이자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친구인 개그우먼 김신영이 장례식에서 남긴 말이 많은 이들의 마음을 울리고 있다.
지난 달 28일 오전 7시,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서 故 전유성의 발인이 엄수됐다. 고인은 고향인 전북 남원시 인월면으로 안장됐으며, 향년 76세로 세상을 떠난 그는 가족과 동료, 제자들의 따뜻한 배웅 속에 마지막 길을 걸었다.
전유성은 기흉으로 건강이 악화돼 전북대병원에서 투병하다가 지난 달 25일 밤 9시 5분경 세상을 떠났다.
한국 개그계의 대부로 불리며 오랜 세월 예능 발전에 헌신한 그는 한국 코미디 역사에 깊은 족적을 남겼다.
발인식에서는 제자 김신영이 추도사를 낭독하며 감정을 주체하지 못했다.

김신영은 “병원에서 ‘나이 차이 많이 나는 친구’라 부르시며 즐거웠다고 말씀하셨다. 제자이자 친구로 불러주셨다”며 “제가 가장 힘들 때 ‘한물 두물 세물 가면 보물이 된다’, ‘두물이 되라’고 하셨다. 아무것도 몰랐던 저를 사람으로 만들어 주신 분”이라고 기억했다.
또한 김신영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남을 배려하고 웃음을 주셨던 교수님의 모습을 절대 잊지 않겠다”며 “병원에서 자꾸 서울 가서 일하라고 하셨지만, 저에게는 그 4일이 40년 중 가장 진실되고 진심이 담긴 시간이었다. 다음 생에도 제 교수님으로 다시 만나길 바란다”고 덧붙여 장례식장을 숙연하게 만들었다.
김신영은 자신의 라디오 프로그램 MBC FM4U ‘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를 잠시 쉬고 전북대병원으로 내려가 스승의 임종을 지켰다.
당시 제작진은 단순히 “개인적인 일정”이라고 밝혔으나, 그 진짜 이유는 스승의 마지막을 지키기 위함이었다.
개그우먼 이경실은 “김신영이 물수건을 갈아주며 끝까지 간호하는 모습이 대견하고 고마웠다”고 전하며, 두 사람의 깊은 인연을 회상했다. 청취자들 역시 “신디가 왜 자리를 비웠는지 이제야 알았다”, “스승의 마지막을 함께한 김신영이 자랑스럽다”며 애도와 위로를 전했다.
故 전유성은 생전 많은 후배 개그맨을 발굴하고 한국 코미디의 큰 줄기를 세운 인물이다. 그의 유머와 정신은 애제자 김신영을 통해 계속 이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