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 매입 불발로 주민의견 분분

▲ 한 주민이 송악면 행정복지센터 이전 반대 현수막을 바라보고 있다. 
▲ 한 주민이 송악면 행정복지센터 이전 반대 현수막을 바라보고 있다. 

충남 아산시가 추진 중인 송악면 행정복지센터 및 기초생활거점센터 연계 ‘복합청사’ 건립 사업이 난항을 겪으면서 그 대안으로 행정복지센터를 별도 신축이전 하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를 두고 주민들 간의 찬반 의견 대립이 거세지고 있다.

1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농촌협약 대상 자치단체로 선정된 시는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 일환으로 송악면 복합청사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은 현 행정복지센터 인근 역촌리 일원에 복합청사 건립을 목표로 한국농어촌공사와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8월 지방재정투자심사와 공공건축심의를 마쳤지만 해당 토지주와 매수 협의가 불발, 대안 부지 확보도 난항을 겪으면서 기본계획 재수립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이에 따라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행정복지센터를 하천 인근 평촌리 쪽으로 신축이전 하고, 기존 센터 건물을 기초생활거점센터와 노인돌봄·청소년 공간 등으로 활용하고 센터 이전에 따른 불편은 노선버스 운행과 무인 민원발급기 활용으로 해소하자는 의견이 마을 이장단을 중심으로 제기됐다.

이러한 제안에 대해 역촌리 주민들은 ‘복합’청사 건립이라는 사업 취지에 부합되지 않는 의견이라며 즉각 반발했다.

역촌리 주민들은 허허벌판에 행정복지센터를 옮기는 것은 주민 불편만 가중시킬뿐임을 지적하며 행정복지센터(면사무소) 이전 반대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조만간 전체 마을 임시총회를 통해 의견을 모으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역촌리 주민 A 씨는 “기존 소재지에 인접해 있던 우체국·농협 등과 연계성이 떨어지고, 인근 상권에도 부정적 영향만 줄 것”이라며 “노인 인구가 많은 지역 특성상 노선버스와 무인 민원발급기만으로는 행정 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명확하다”고 말했다.

주민들의 의견이 나뉘면서 시는 더욱 난처한 입장에 놓이게 됐다.

현재 복합청사를 건립할 대안 부지가 없는 상황으로 센터만 신축이전하기 위해서도 충남도의 승인을 받아야 해 기존 예산을 나눠 사용할 수밖에 없고 규모 축소 또는 청사관리기금을 통해 자체 예산을 추가로 확보해야할 상황으로 복합청사 건립 가용 예산은 약 105억 원에서 더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별도 이전 신축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현재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며 “복합청사가 아닌 별도로 지을 경우 농정 관련 예산이 빠질 수밖에 없다. 농어촌공사와 위수탁 협약도 합의를 통해 해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산=이진학 기자 ljh1119@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