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임금근로자는 2241만 3000명이다. 이중 61.8%인 1384만 5000명이 정규직이고 38.2%인 856만 8000명이 비정규직이다. 비정규직 셋 중 한 명 이상이 60세를 넘긴 고령층이다. 듣기 좋은 말로 베이비부머 세대가 적극적으로 취업전선에 뛰어든 영향이라지만 해야만 해서인지, 하고 싶어서인지까지는 통계에 담기지 않았으니 켯속은 알 수 없으나 고령층 근로자 비중이 늘고 있는 것만큼은 분명하다.
비정규직 근로자 중 60세 이상은 전년 동월 대비 2.3p% 증가한 304만 4000명(35.5%)으로 사상 처음 300만 명을 넘어섰다. 다음 차례인 50대 163만 6000명(19.1%), 29세 이하 154만 5000명(18.0%)과 비교하면 좋든 싫든 비정규직 시장이 시니어들에게 치중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확장성도 남다르다.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60세 이상과 30대만 늘었는데 60세 이상은 23만 3000명으로 30대 6만 6000명과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우리는 초고령화 사회를 살고 있다. 대전도 빠르게 늙어가고 있는 와중에 고령층의 고용 편입은 근로 의욕이 왕성해서라기보다는 어쩔 수 없는 생계형인 경우가 일반적일 것이다. 고용은 고령층에 호의적이지 않다. 대전연구원에 따르면 대전의 임금근로자 비중은 55세 57.0%, 60세 47.2%, 65세 33.1%, 70세 27.6%로 위로 갈수록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있다. 근로를 원하는 연령별 의사는 55세 83.8%, 60세 83.2%, 65세 73.5%로 괴리가 크다.
55세 32.6%, 60세 42.9%, 65세 61.2%, 70세 85.1%인 대전의 비정규직 비중으로 비정규직 셋 중 한 명 이상이 60세 이상인 현실은 설명되고, 63세 이상 연금소득자의 월평균 연금이 1인 가구 최저생계비 134만 원에 못 미치는 100만 원 이하라는 통계로 고령층의 근로가 호구지책임이 드러난다. 일자리도 적거니와 그나마 비정규직으로 한정되다 보니 고령층의 경제 자립도는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단기 고용에서 오는 불안은 숙명이고 갈수록 벌어지는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는 주눅이다. 임금근로자의 최근 3개월 월평균 임금은 정규직의 경우 389만 6000원으로 10만 원 늘었으나 비정규직은 208만 8000원으로 4만 원 증가에 그쳤다. 양자 간 임금 격차 180만 8000원은 2004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컸다.
고령층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지 못하면 결국 청년층의 부양 부담이 커진다. 단순한 공공일자리보다 숙련된 경력을 살린 시니어 일자리로의 구조 재편을 골몰해야 할 것이다. 양질의 일자리는 세대를 뛰어넘는 문제이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