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와 국내 최대 규모 ‘개방형 양자팹’ 구축 착수

대전시는 KAIST와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개방형 양자팹)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이광형 KAIST 총장은 23일 KAIST 본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 사업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공정시설 건립과 양자 인프라 구축을 포함한다. 2031년까지 국비 234억 원, 시비 200억 원, KAIST 자부담 17억 원 등 451억 원이 투입된다. 시설은 KAIST 본원 내 미래융합소자동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500㎡ 규모로 신축되며 2027년 준공 예정이다.
준공 이후에는 KAIST가 운영을 맡아 고도화된 양자 공정 환경을 유지하고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운영체계를 구축한다. 시는 협약을 통해 지역 산·학·연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 연계형 양자산업 생태계 조성과 산업화 기반 구축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시는 최근 3년간 개방형 양자팹, 양자대학원, 양자 테스트베드, 양자컴퓨팅 양자전환 스케일업 밸리, 퀀텀 플랫폼 등 양자클러스터 조성의 핵심 인프라를 연이어 유치하며 국가 양자클러스터 거점도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이광형 총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핵심 전략 분야”라며 이번 사업의 의미를 부여했고 이장우 시장은 “양자 기술을 통한 미래 산업 선점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