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편중에 지역별 일자리 격차 심화
“해법은 지역 맞춤형 일자리 전략과 재편”

올해 상반기 충청권의 고용 양극화와 편중이 뚜렷해지면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28일 국가데이터처(전 통계청)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올 상반기 임금근로자는 지난해보다 27만 7000명 늘어난 2241만 5000명으로 집계됐다. 임금 구간별로는 200만~300만 원 미만이 30.6%로 가장 많고, 300만~400만 원 미만 22.4%, 500만 원 이상 16.3%, 400만~500만 원 미만 11.2%, 100만~200만 원 미만 9.9%, 100만 원 미만 9.6% 순이다. 임금근로자 5명 중 1명(19.5%)은 월 200만 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대전의 한 경제학 교수는 “문제는 일자리 질의 격차”라며 “지역 산업 구조에 따라 근로자의 소득 수준이 결정되는 만큼 각 지자체는 지역 일자리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진단했다.
대전의 상반기 취업자는 81만 1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만 9000명 증가했다. 가장 많은 산업은 음식점 및 주점업으로 6만 6000명(8.1%)이 종사하고 교육서비스업 6만 5000명(8.0%), 소매업(자동차 제외) 6만 4000명(7.9%)이 뒤를 이었다. 대전상점가상인회 관계자는 “자영업 비중이 워낙 높다 보니 경기 침체나 제도 변화에 따라 지역민의 체감 타격이 크다”며 “지자체가 자영업군을 우선적으로 실질 지원하는 것이 지역경제 회복의 핵심”이라고 꼬집었다. 다만 자영업 비중을 줄여야 한다는 지역 경제계의 경고음도 상존한다.
충남은 상반기 취업자가 131만 1000명으로 3만 1000명 줄었다. 농업 종사자가 15만 명(11.4%)으로 가장 많았다. 충북 취업자도 98만 4000명으로 1만 6000명 감소했다. 이 중 11만 8000명(11.9%)이 농업군에 속했다. 충남의 한 영농조합 관계자는 “농업 경기는 수출입 환경에 따라 즉각 반응한다”며 “특히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대두 등 농산물 품목 변화가 생기면 충남북지역이 대전에 비해 훨씬 민감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의 상반기 취업자는 21만 4000명으로 4000명 감소했다.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분야 종사자가 3만 8000명(17.6%)으로 가장 많고 교육서비스업 종사자도 2만 3000명(10.9%)에 달했다. 세종의 한 교육컨설팅업체 관계자는 “공공기관 대상 교육서비스업 비중이 높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같은 ‘탈세종’ 움직임이 일어나면 고용 충격이 불가피하다”며 “규모의 경제를 지켜내기 위해서라도 지역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는 정치 리더와 지자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역 노동계는 산업별 일자리 편중을 완화하고 고용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조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대기업이나 대학 유치, 산단 구성만으로 일자리가 늘어난다는 막연한 정책이 반복되고 있다”며 “산업군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기존 일자리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지역 특화형 일자리 모델을 설계하고 AI 데이터 분석을 적극 활용해 일자리의 양과 질을 업그레이드하는 혁신적인 재편 해법도 도입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