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온실가스배출량 10배 ↑
지역 감축목표 달성 어려워” 비판
市 “전체 전력망 기준 배출량 줄어”
논란 이어져 공론화 필요성 제기

대전열병합발전㈜이 추진 중인 집단에너지 현대화사업을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노후 설비 교체를 명분으로 한 ‘현대화’ 사업이지만 대전시의 탄소중립 정책과 충돌한다는 비판이 일면서다.

대전 대덕구에 있는 대전열병합발전은 지난 2021년 기존 113MW급 증기터빈발전소를 495MW급 대규모 가스(LNG) 복합화력발전소로 증설하는 내용의 변경사업계획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 문제는 사업 추진 이후 불거졌다. 발전 용량이 네 배 이상 늘어나는 만큼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가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흘러나왓다. 지역 시민사회가 분석한 대전열병합발전의 현대화사업 기후변화영향평가 초안에 따르면 증설 이후 예상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간 약 18만 톤CO₂eq에서 약 180만 톤CO₂eq로 10배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일러 등 고정연소시설 규모가 커지면서 연소되는 화석연료량이 크게 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시민사회는 특히 이 수치가 지역 전체 탄소중립 목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연간 180만 톤CO₂eq은 2018년 대덕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넘어서는 규모로 같은 해 시 전체 배출량의 21.1%에 해당한다. 시가 설정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와 비교하면 35.1%에 달하는 수준이다. 지난 28일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기자회견을 열고 “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이나 구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계획과의 연계 없이 추진되는 일방적인 증설은 지역 탄소중립을 요원하게 만든다. 지역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어렵게 만드는 사업은 중단돼야 한다”라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시는 단순한 배출량의 총합보다 배출 구조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외부 석탄화력발전을 대체하는 LNG 발전 전환을 통해 지역 내 직접 배출은 늘더라도 전체 전력 공급망에서의 온실가스 총배출은 줄어들 수 있다는 논리다. 시 관계자는 “표면적으로는 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석탄화력발전을 LNG로 대체할 경우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오히려 줄 수 있다. LNG나 LPG는 석탄보다 배출량이 적고 장거리 송전 과정의 손실까지 감안하면 지역 내 전력 생산이 전체 배출 구조상 더 유리하다”라고 설명했다.

한켠에선 이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면서 공론화 과정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발전소 증설이 단순한 설비 교체를 넘어 지역의 탄소중립 정책 방향과 직결된 만큼 환경적 파급력과 정책 일관성을 시민과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량이 시 전체 목표치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까닭에 행정 결정 과정에 시민의 참여와 정보 공유가 보장돼야 사회적 신뢰를 얻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시는 “향후 허가 단계에서 공론화 필요성이 나올 경우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검토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