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에 거주하는 체류 외국인 수가 8만 명을 넘어섰다는 소식이다. 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충북의 체류 외국인은 8만 416명으로 전체 인구 167만 2847명의 4.81%를 차지했다. 인구 대비 비중으로 전국에서 충남(6.25%), 경기(5.06%)에 이어 세 번째다. 8만 명이면 보은군(3만 1583명)과 옥천군(5만 109명)의 합산 인구와 맞먹는 규모다. 전체 11개 시군 중 절반이 넘는 8곳이 소멸 위험 지역인 상황에서 활력을 불어넣는 새로운 피로 극진히 환영받을만하다.
체류자격은 비전문취업(E-9) 25.7%, 재외동포(F-4) 20.2%, 유학생(D-2·D-4) 13.3%로 고르게 분포한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 청년층이 58% 이상을 차지해 지역 산업현장뿐 아니라 문화·소비 등 다양한 분야에 생동감을 주고 있다. 속절없이 늙어가는 지역에 청년층 유입은 그들이 내국인이든 외국인이든 존재만으로 역동적인 파급력을 끼치기 마련이다.
특히 충북도의 K-유학생 정책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도의 K-유학생 유치 노력으로 2024년 5053명이던 외국인 유학생이 올해 1만 537명으로 92.1%p 증가하며 외국인 유학생 증가율 전국 1위를 달성했다고 한다. 충북연구원 정책연구 자료에 따르면 유학생 1만 명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 효과는 연간 2122억 원에 달한다고 하니 단순 계산만으로도 ‘꿩 먹고 알 먹는’ 실리적인 정책이다.
도 관계자는 “외국인 8만 명 시대는 충북이 다양성과 포용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는 의미로 보고 있다”고 반겼다. 충북이 부른 쾌재는 같은 고민에 빠진 지방자치단체의 한결같은 바람이다. 우리나라는 지역 소멸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민을 받아들여야 하는 나라가 돼 가고 있고 이런 문맥에서 지자체마다 체류 외국인을 정착시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다행히 자원은 늘고 있다. 2023년 11월 1일 기준 국내 외국인 주민 수는 245만 9542명이다. 2022년과 비교하면 20만 1294명(8.9%) 늘었는데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 증가다. 외국인이 어엿한 한국 사회의 축대임은 부인할 수 없다. 2024년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5월 기준 국내 상주 외국인 취업자는 101만 명이다. 다만 외국인 주민의 57.7%인 141만 9674명이 수도권에 편중돼 맥은 좀 빠진다.
불행히도 긍지로 여겨왔던 단일민족 국가를 고집할 여유가 없다. 정부도, 지자체도 세계시민주의에 바탕을 둔 이민 정책을 설계해 인구 소멸에 대응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포용하고 환대하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사회 통합을 위한 노력과 교육도 게을리해선 안 된다. 다문화, 다국적, 다종교, 다민족이 어울려 살아도 괜찮은 나라인지 자문해 볼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