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교육협력사업 추진계획 논의
사립유치원 유아 1인당 13만원 지원
초·중·고 무상급식 안정적 체계 구축

대전의 교육 복지가 행정과 재정의 공동 협력 속에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대전시와 대전시교육청이 내년부터 시행할 교육협력사업의 세부 방향을 확정하며 무상급식과 교복 지원, 유아교육비 지원 등 핵심 정책이 한층 구체화됐다.
시는 지난달 31일 시청에서 2025년 교육행정협의회를 열고 2026년도 교육협력사업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설동호 대전시교육감이 공동의장을 맡은 가운데 진행된 협의회에는 대전시의회 이금선·이상래 의원이 참석해 주요 교육복지 현안을 점검했다.
합의안의 핵심은 교육복지의 단순 지원에서 교육 생태계 전반의 구조 개선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사립유치원 재원 유아에게 1인당 13만 원의 교육비를 지원해 가계 부담을 줄이고 초·중·고 무상급식 예산 996억 원을 시와 시교육청이 절반씩 분담, 안정적 급식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특히 이 같은 결정은 교육의 공공성 확대와 형평성 강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무상급식과 교복 지원, 유아교육비 보전은 각각의 개별사업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역 내 소득·학교 유형에 따른 교육 격차를 줄이는 통합 복지 구조로 높여나간다는 판단에서다.
또 시와 시교육청은 친환경 운동장 조성사업을 통해 학교 환경을 개선하고 교복 지원 확대를 통해 교육비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물리적 시설 개선을 넘어 기후 대응형 학교환경을 구축하겠다는 의도다. 단기적으로는 시설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으로는 학생들의 생활권 환경 전반을 개선, 학교 안전 도시 기반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이 시장은 “교육복지는 곧 대전의 미래를 위한 투자다.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학부모가 신뢰하는 교육환경을 만들기 위해 시교육청과의 협력을 지속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