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설계공모 선정·계약 절차 돌입
내년 4월 용역 거쳐 하반기 착공
독창적 근대 모더니즘 기법 적용
이달 중 국가등록유산 지정 추진

▲ 옛 대전시청사 복원 예상도. 대전시 제공

<속보>=대전시가 대전부청사를 복원해 2027년 상반기 대전시민에게 공개한다. 근대 문화유산의 발굴부터 보존, 재활용까지 시가 전 과정을 직접 주도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부청사 복원은 단순히 옛 건물을 되살리는 차원을 넘어 대전 도시 정체성과 원도심의 새로운 역할을 재정립하는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본보 3월 27일자 3면 등 보도>

4일 시에 따르면 최근 부청사 설계 공모 당선작 선정에 이어 실시설계 계약 절차가 시작됐다. 시는 이달 중 실시설계를 시작해 내년 4월 용역을 마무리한 뒤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할 계획이다. 복원 공사는 부청사의 옛 모습을 되살리는 원형 복원을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키기 위한 리모델링이 병행된다. 시는 공사를 내년 말까지 마치고 2027년 상반기 시민에게 개방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복원사업에는 부지 매입비를 포함해 총 440억 원이 투입된다. 실시설계비는 3억 4900만 원, 복원 및 리모델링 공사비는 약 60억 원 규모다. 무엇보다 시가 근대문화유산을 직접 매입하고 복원·활용하는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시는 근대도시 대전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원도심 재생의 상징적 거점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사업 추진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부청사는 1996년 민간에 매각된 이후 여러 차례 소유권이 바뀌며 보존과 개발 사이에서 갈등을 겪었다. 최근 오피스텔 신축 계획이 접수되며 철거 위기에 놓이기도 했지만 지난해 시가 매입을 결정하면서 보존 방향이 확정됐다. 시는 부청사를 중심으로 옛 충남도청사 국립현대미술관, 목척교, 소제동 관사촌, 이종수미술관, 헤레디움, 테미오래 관사촌, 제2문학관 등으로 이어지는 역사·문화·예술 관광벨트를 조성해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한편 1937년 건립된 부청사는 지하 1~지상 3층 규모(연면적 2323㎡)의 철근콘크리트조 건물로 근대 모더니즘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당시 기술로는 구현이 어려웠던 비내력벽 구조와 수직창, 벽면 타일 마감, 높은 층고의 공회당 등 독창적인 건축 기법이 적용돼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시는 건축적 특성을 고려해 이달 중 국가등록문화유산 지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첫 시청사 복원을 통해 근대 건축유산의 보존과 도시재생, 지역문화 확산이 동시에 이뤄지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