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대전시청서 예산정책협의회 개최
장동혁 대표 “지역 현안 지원” 약속

충청권 4개 시·도가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국민의힘 지도부와 머리를 맞댔다. 4개 시·도는 주요 현안과 숙원을 소개하고 국민의힘은 국토의 중심 충청의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약속했다.
5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 민생 예산 정책 협의회’에서 장동혁 대표는 모두 발언을 통해 “충청권 주요 현안과 숙원사업을 해결하기 위해 시·도지사, 국회의원이 노력한 것도, 그럼에도 부족한 것도 잘 알고 있다. 정말 필요한 예산인데 부족한 것은 없는지, 반드시 지원받아야 할 사업인데 빠진 건 없는지 잘 살피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충청권은 대한민국의 허리이자 중심이다. 대전은 과학 중심, 세종은 행정 중심, 충남은 에너지 대전환의 중심, 충북은 바이오 중심이다”라고 치켜세우며 “충청이 대한민국의 진정한 중심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제1여당 지도부가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자 4개 시·도는 이내 현안을 소개하며 국비 지원을 주문했다. 대전시는 가장 큰 현안인 대전교도소 이전을 비롯해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에 있어 대전과 충남의 우선 지정 등을 촉구했다. 세종시는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출범한 만큼 행정수도 명문화를 건의했다. 관련 법안이 여럿 발의됐는데 국민의힘에서 선제적이고 주도적으로 관철해야 한다는 의미다. 충남도는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의 저조한 국비 지원을 토로했다. 시범사업은 선정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에 월 15만 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을 지급하는 게 골자로 충청권에선 충남 청양이 이름을 올렸다. 재원은 정부가 40%, 자치단체가 60%를 분담하는데 재정 상황을 감안하면 전액 국비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논리다. 충북은 일자리 창출을 당부했다. 전통시장이 생겨도 고객이 없고 연구소가 생겨도 연구원이 전무해 비수도권의 활력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해 비수도권에 성장 추동력을 확보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장 대표는 “충청 민심은 늘 대한민국의 미래 밝혔다. 대한민국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충청의 민심을 경청하고 받들겠다”라고 말했다.
김현호 기자 khh0303@ggilbo.com
